고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아이세움 열린꿈터 17
이영란 지음, 정순임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제가 김진명 작가님의

'신 황태자비 납치사건'을 읽으면서 역사책에 대한 인식을 달리 하게 되었어요.

 

역사책이라고 아이에게 무조건 읽히는게 아니라 어디에서 만들어졌는지도 앞으로는

확인을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얼마전 논란속에 한국사 교과서 채택이 마무리 됐는데, 이념 논란이 적고 무난하다는 평가속에

8종의 교과서 중에 미래엔이 채택이 된 사실이 기억이 나더라구요.

아이세움이 미래엔이죠.

그래서 이번에 아이와 함께 '고려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를 주저없이 읽게 되었어요.

 

 

 

 

고려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는 통해 고려의 전통을 확실히 알고,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 조상들의 생각과 삶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배울 수 있는 책이었어요.

우리는 조선시대의 역사는 잘 알고 있지만,

고려시대에 대한 부분은 잘 알려지지 않은게 대부분인것 같아요.

 

우리나라 대한민국에 고려의 흔적이 많이 없기 때문에 더욱 그런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가끔 tv에서 해주는 사극속의 고려의 모습을 보며 상상을 하게 되니까요.

 

책속에서는 조선시대의 '홍길동'이 고려시대에 떨어지면서 고려와 조선의 차이를 알려주고 있어서

우리 아이들이 이 책을 읽음으로써 논술 실력이 자연적으로 쌓일거라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초등학교 5학년 사회시간에 일년간 아이들은 한국사를 배우게 되는데,

그전에 이 책을 읽어둔다면 많은 배경지식이 쌓여서 학교 시험 대비에도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교과서의 내용이 대부분 들어 있기 때문에 아주 유용한 역사책의 모습을 띄고 있어요.

 

특히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의 등장만으로도

아이들의 시선을 받기에 충분해 보이더라구요.

 

고려시대의 팔관회와 연등회에 대한 설명도 자세하게 나와서 제가 책을 읽다가 손뼉을 쳤답니다.

아이가 5학년때 문제를 풀면서 고려시대 부분에서 팔관회와 연등회에 대한 아주 햇갈리는

문제가 나와서 저 또한 공부를 했던 기억이 났거든요.

 

교과서보다 더 자세한 설명이 책속에 나와서 아이들에게 넓고 깊은 지식을 안겨 주는 책입니다.


 

 

 

고려의 생활 모습과 조선의 생활모습을 보면서

우리 아이들이 그 차이점을 생각해 볼 수 있는점이 이책의 최고 장점인것 같아요.

 

고려에서는 처가살이를 하던게 조선시대에서는 시집살이로 바뀌게 되었는지를 알아 가다보면

고려시대는 불교를,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나라의 기틀로 삼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알아가게 될것 같아요.

무조건 저희가 배울땐 고려는 '불교', 조선은 '숭유억불'이라고 암기를 했던게 생각이 나네요.

스토리 텔링과 함께 역사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우리 아이들은 정말 복받은것 같아요.

 

이렇게 책을 통해서 우리의 역사를 배운다면 역사는 어렵지 않게 아이들에게 인식이 될것 같습니다.

 




저는 이번에 이책을 통해서 너무도 재미난 사실을 배웠어요.

전공과목이 의상디자인인데, 한국복식도 배웠는데, 전 왜 기억에 없었을까요?

 

여자들의 옷고름과 저고리색의 관계를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어요.

제가 배웠는데, 잊고 있었던건가요?

 

요샌 명절때도 잘 안입는 한복이라서 한복에 대한 정보가 점점 사라지고 있네요.

한복과 당의까지 만들어 봤는데, 전 제가 너무 의아했어요.

단기 기억 상실증인가?라는 생각까지 들더라구요.

 

저고리 옷고름을 통해서 부녀자인지, 처녀인지, 남편을 여윈 여인인지, 모든게 표시가 되네요.

치마색으로 나이를 표시하는건 알고 있었는데, 옷고름에도 이런 표시를 했다니..~


 

 

 

고려시대는 남녀차별이 조선시대에 비해선 거의 없는거나 다름이 없었어요.

여자들의 바깥 출입도 자유로 왔고, 족보에도 당당히 이름을 올렸으니까요.

부모님의 유산도 당당히 받을 수 있었으니, 지금이랑 많이 비슷한것 같아요.

 

제가 어릴적만 해도 '남녀칠세 부동석'이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으며 자란것 같아요.

'남아선호사상'도 정말 커서 저희 엄마의 경우에도 호적에 자식을 올리지 못한다며 시집에서

늦둥이를 나라는 강요를 받고 낳게 됐거든요.

호적에 제이름보다 9살이나 어린 제 남동생 이름이 먼저 올려져 있는걸 보고 기분이..~

 

 

 

 

고려의 왕은 장사를, 조선의 왕은 체통을!

이런 문화였기 때문에 고려시대엔 '벽란도'를 통해 대외적으로 활발한 무역을 했겠죠.

 

이렇게 실리를 따지는 고려의 문화가 지금까지 쭉 이어져 왔다면

일본이 우리 나라를 강탈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냥 그랬다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제 개인적인 바램이랍니다!

 

고려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무려 500년 가까이 계속되어 왔습니다.

많은 유적이 북한에 있어서 고려를 제대로 알기가 어려운데,

그나마 남아 있는 전통도 조선의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합니다.

그중에 한사람이 저인듯 합니다.

 

조선은 유교의 한갈래인 성리학을 받아들였고,

고려는 불교의 바탕위에 유교와 도교 사상을 받아 들여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는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차이점을 책을 통해서 자세히 배울 수 있게 됩니다.

책을 읽고 나면 우리의 조상들의 생활을 통해서 본받을 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쉽고 재밌는 역사 이야기를 통해 우리 아이들의 역사 지식도 쑥쑥 쌓이길 바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