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걸 조로리 32 - 요괴 리그 쾌걸 조로리 시리즈 32
하라 유타카 글.그림, 오용택 옮김 / 을파소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영화 <쾌걸 조로리의 대대대대모험>을 보고 왔습니다.

조로리를 보고 오더니 조로리의 팬이된 아들에게 좋은 책선물을 하게 됐네요.

쾌걸 조로리의 책이 출시가 된걸 이번 기회에 알게 됐습니다.

그중 이번에 본건 쾌걸 조로리 시리즈의 32번째 이야기인 <쾌걸 조로리의 요괴 리그>입니다.

 

야구를 좋아하는 아이에게 요괴 리그는 몇배의 기쁨으로 다가온 듯 보여지네요.

 

 

 

 

쾌걸 조로리는 일본 만화에요.

일본 만화들이 문제가 많아서 아이들에게 보지 못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데..

쾌걸 조로리는 그런 걱정은 안하셔도 될듯 보여지네요.

아주 건전한 내용들로 이루어진 이야기더라구요.

 

 

 

 

2400만부 베스트셀러!!

일본 어린이들을 독서 열풍에 빠지게 한 책.

바로 <쾌걸 조로리 요괴 리그>라는 광고가 나옵니다.

왜 이렇게 아이들이 이 책을 좋아하지??라는 의문을 갖고 책을 보게 됐어요.

책을 보면서 의문은 자연스럽게 풀리더라구요.

 

<먼나라 이웃나라> 이원복 교수 추천이라는 부분도 있더라구요.

"조로리를 보고 나서 하루종일 웃음이 나왔다.

이 책을 보고 자란 아이들이 만들어 갈 창의적인 세상이 정말 기대된다.

아이들에게 책 읽기가 즐겁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책이다."

 

저도 이원복 교수님의 말씀에 동감을 합니다.

요책을 안보고 우리 아이가 지나 갔으면 두고두고 억울 할뻔 했다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어요.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샘쏟는 책이더라구요.

영화로 보는 것과는 다른 재미가 책에 담겨 있어서 정말 좋았던것 같아요.

 

 

 

 

▲ 그림을 보시면 만화책이죠.

말주머니를 이용해서 만화로 표현을 했답니다.

이부분만 보면 이책은 당연히 만화책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을것 같아요.

 

 

 

 

▲ 자~ 여기를 보시면 분명히 동화책이랍니다.

그쵸~

이렇게 <쾌걸 조로리 요괴 리그>는 여러가지 기법으로 표현된 책이랍니다.

그래서 일본 어린이들이 독서의 열풍에 빠지게 된듯 보여져요.

책을 읽는 동안 지루할 틈을 주지를 않거든요.

 

 

 

 

쾌걸 조로리 일행이 야구 경기장으로 가기 위해서 높은 절벽에서 내려오는 장면이에요.

긴머리를 이용해서 헬리콥터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장면인데

이런 부분이 창의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것 같아요.

상상력도 키워 갈 수 있을것 같구요~!!

 

 

 

 

조로리의 제자 노시시가 던진 마구의 비밀을 알려주는 구성도 참 재밌죠.

우리 어린이들이 이렇게 재밌는 책을 읽으면 '책은 참 재밌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될것 같아요.

책에 흥미를 느껴야 다독의 세계에 풍덩 빠져들 수 있거든요.

 

 

 

 

요괴 리그답게 야구경기를 하는 모습이에요.

책의 공간 활용을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야구장의 그라운드를 생동감 넘치게 표현을 해서 우리 아이들이 진짜 경기장에 있는 착각이 들 정도네요.

책을 보며 야구 경기하는 방법과 규칙은 덤으로 얻을 수 있을것 같아요.

 

 

 

 

경기의 승패를 당락지은 부분이에요.

강호동처럼 손가락이 무지 두꺼운 상대팀 요괴 선수 때문에 넘 웃기더라구요.

공이 땅에 박혔는데,

공을 꺼내려고 할수록 공은 점점 땅속 갚이 빠지는 부분이에요.

넘 웃겨서 책을 보면서 킬킬거렸답니다.

저희 아들이 "왜? 뭐가 웃긴데?" 묻더라구요.

책을 보여줬더니..

"진짜 웃기지~" 그러네요~!!

 

아이와 함께 책을 읽으며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하면 사춘기도 무리없이 지나가지 싶은 마음이 들어요.

그래서 전 항상 아이가 보는 책을 저 또한 보고서 함께 이야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아이가 외동이라서 제가 형제가 해줘야 하는 부분도 해줘야 하더라구요.

 

쾌걸 조로리 시리즈 넘 재밌다는 결론을 안고

저희 아이가 그전 시리즈를 모두 보고싶다고 하네요.

30권 이상인데..

어쩌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