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를 꿈꾸다 시공 청소년 문학 51
이상권 지음 / 시공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 청소년 문학 51 <마녀를 꿈꾸다>를 읽었다.

아직 초등학교 4학년인 빈이가 읽기에는 난이도가 있어서 우선은 나부터 읽어 보았다.

책을 읽으면서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항상 국어사전보다 엄마를 찾아서 설명 듣기를

좋아하는 아들이라 아마 이책을 읽으며 낯선 단어들을 보고 종달새처럼 엄마 이건 무슨뜻이야?

저건 또 무슨뜻이야? 하며 물을게 뻔하다..ㅎㅎ

내가 17살일땐 유명 출판사에서 청소년 도서를 발간하지 않았었다.

주로 일본 번역판 청소년 도서라든지, 아니면 하이틴 로맨스 같은 책이 대부분이었다.

시공사에 청소년들을 위한 이런 좋은 도서가 있다는데 다시 한번 놀랐다.

사춘기때는 감수성이 제일 예민하고 모든것을 비관적으로 받아들여 상처를 많이 받는 나이이다.

그래서 작가도 17살이란 나이를 가진 수문이라는 소녀를 주인공으로 글을 쓴듯 하다.

이책은 작가의 의도대로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사람들을 등장인물로 재구성해서 등장시켰다고 한다.

이책을 읽으며 나는 정말 평탄한 사춘기를 보냈구나 하는 안도의 생각이 들었다.

<마녀를 꿈꾸다>의 첫장이다.

특수 살해범 강주혁의 지명수배 전단지가 보는 이의 호기심을 강하게 끈다.

지렁이 간에다 뱀 쓸개를 넣고, 벼락 맞은 독버섯을 집어 넣고, 천년 묵은 뱀닭의 발톱이랑

이무기의 똥을 넣어서 만든 마법약을 먹고 수문과 주혁은 서로의 반쪽으로 변신을 하게 된다.

주혁의 아픔은 수문의 아픔으로 다가오는...

상상+꿈=또 다른 현실이고, 상상+현실=나만의 굼이고,

현실+꿈=나만의 상상이다. 따라서 상상=꿈=현실이다.

이책엔 많은 문제들이 나온다.

수문의 엄마는 5년간 동거한 남자와의 사이에서 수문이를 낳지만 아이와 함께 남자에게 버림을 받는다.

결국 수문의 엄마는 이복 언니에게 아이를 맡기고 세상을 떠난다.

아이를 맡게된 수문의 이모 또한 어릴적 새엄마와의 나쁜 기억을 안고 살아간다.

아빠가 임신한 새엄마와 딸을 버리고 떠난후에 이복 동생과 함께 살아가면서 새엄마한테서 심한 차별을 받으며 자라게 된다.

새엄마가 돌아가시고 이복동생의 나이 17살때 언니를 찾아오지만 매몰차게 돌려 보내는 모습을 보인다.

그런 이복 동생의 아이 수문이를 보면서 동생과 새엄마의 모습이 보여서 괴로워 하다가 아이를 버리기를 수없이 한다.

끝내는 아이를 버린후에 다시 데리고 오지만 수문의 꿈에 버려졌던 그때의 기억이 고스란히 등장을 한다.

이모가 강남의 부자집 남자와 결혼을 하면서 수문이는 이모의 고종사촌인 왕이모네 집에서 초등학교를 다니게 된다.

이모는 결혼전 사귀던 남자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3번이나 지우면서 결혼후에는 아이를 갖을 수 없는 몸이 된다.

결국 이혼후에 숯을 먹는 아저씨와 동거를 하면서 수문이를 데리고 간다.

재혼한 아저씨 또한 많은 문제를 안고 살아간다.

일류대를 나와서 일류 회사에서 직장 생활을 하고 해외파견 근무를 하는도중 아이의 사고로 고국으로 되돌아온다.

결국 아내와 이혼하고 병이 걸려서 살아가다가 이모를 만나서 치유가 된다.

숯을 먹는 아저씨의 아들 주혁이는 수문이를 보자마자 저주의 말을 쏟아 붓는다.

초등학교 4학년 어린나이에 집에서 다른 아저씨와 함께 있는 엄마의 외도를 목격하고서부터 이상한 행동을 하게 된다.

약자로써 살아가다가 본인이 강자가 될때 느끼는 쾌감에 빠져서 3학년 여자아이를 실수로 죽이게 된다.

결국 죄책감에 시달리다 아파트에서 뛰어 내리지만 목숨은 건진다.

하지만 어린 나이에 이 사건은 큰 상처로 주혁의 가슴에 남게 된다.

자책과 공포속에서 하루하루를 겨우겨우 살아가는 주혁이의 모습을 보게 된다.

수문이를 처음으로 맞다뜨리던 날 본인이 목졸라 죽인 소녀와 닮아서 수문이를 저주하기 시작한다.

수문이 또한 그런 주혁이 때문에 신경쇠약에 걸릴 정도로 힘들어 한다.

<마녀를 꿈꾸다>에는 이런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등장을 한다.



또한 이책엔 현실 세계와 공존하는 <꿈의 세계>와 <마법의 세계>가 존재를 한다.

그래서 이책은 환타지 소설의 느낌을 풍긴다.

주혁이와 수문이가 꾸는 꿈의 세계가 있다면,

새들과 대화를 하고 연못에서 이무기가 나오고 이무기가 따라와서 도망다니는 이모가 등장을 하고,

바로 이런 부분은 마법의 세계가 분명하다.

작가는 현실 세계속에 이 두 세계를 교묘하게 섞어 놓고 있다.

진짜로 일어난 일일까??하는 물음표를 남기게끔 하고 있다.

이모의 행동을 보고 있으면 정말 마녀가 맞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게 하는 행동들이 많다.

수문이 또한 새와 대화를 하는걸 볼때 역시 마녀를 연상시킨다.

주혁이의 꿈속에 가는것 또한 마녀라는 인상을 남긴다.

그래서 이책의 제목이 <마녀를 꿈꾸다>일듯 하다.

현실이 힘들어서 도망치고 싶은 마음이 가득할때 우리는 마녀를 꿈꾸게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사는 세상엔 많은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이 책을 읽으며 그 문제들을 좋은 방향으로 잘 들여다 보길 바란다.

청소년들의 자살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마녀를 꿈꾸다> 책을 통해서 마음의 치유가 됐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청소년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가 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