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문견록, 바다 밖의 넓은 세상 -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제주 르포 18세기 지식 총서
정운경 지음, 정민 옮김 / 휴머니스트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은 조선시대 제주도에 대한 견문록 같지만 실상은 제주도들의 표류에 대한 취재기와 같은 성격이다. 정운경이 조선시대 제주 목사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갔다가 제주도에 대한 기록을 남기면서 표류민으로 떠돌다가 돌아온 이들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물론 이 외에도 조선시대 제주도에 자라던 감귤에 대한 자세한 기록도 같이 남겼다. 이 기록중에서 표류민에 대한 기록은 교통이 발달하지 못하고  배의 시설도 좋지 못하던 시절에 항해란 하늘의 뜻에 맡겨야하는 운명적인 여행이었을 것이다. 뜻하지 않은 풍랑이나 해류를 만난다면 이는 하늘의 뜻이 되는 것이다.


이들 뜻하지 않은 결과로 표류민들은 가까운 일본이나 중국으로 흘러들었지만 멀리는 지금의 베트남까지 갔다온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물론 이 역의 표류민들도 존재하고 조선도 이들에 대한 처리 절차가 존재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조선에 남아 있는 기록들이 많지 않고 오히려 해외에 존재하는 기록들이 더 많이 있다고 한다. 일본 같은 경우는 표류민들에 대해서 철저한 조사와 기록을 남겨서 현재 조선 표류민들에 대한 역사적 조사를 일본의 자료와 비교하며 검증하고 있다고 한다.


조선의 표류민들이 겪은 경험들에 대해서 체계적인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정운경이 남긴 기록은 중요한 사료일 것이다. 게다가 그들의 입에서 전해지는 그 당시 외국인들의 풍습과 모습들은 견문이 좁은 조선 사람들에게는 기록이나 묘사할 단어조차 부족했을 것이다. 더욱이 표류민들로 떠돌았던 이들 중에서 글을 모르는 어부들이나 교역인들은 입으로 그 내용을 전할 수 있었지만 기록으로 남기기에는 능력이 부족했던 것을 생각한다면 - 게다가 중국으로 표류했던 경우는 북경을 제외한 강남 같은 곳은 통역할 통역관이 부족하여 그들에 대한 정확한 자료 작성이나 기록사항들이 부족했던 걸 생각한다면, 문자로 지금 남아 있는 기록 자체가 얼마나 커다란 보고가 아닐 수 없다(일본의 경우는 임진왜란 으로 인해서 일본으로 끌려간 유민들의 후손들이 통역관을 한 것으로 나오고 있다). 하지만 또한 역으로 생각하면 그 부족한 능력으로 인해서 지금 남아 있는 사료의 빈곤함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18세기의 중국은 청의 안정과 인구 증가로 인해서 상업이 발전하면서 뱃길을 통한 상업의 확대를 경험하게 된다. 물론 이는 그만큼의 위험 부담의 증가와 표류민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국에서 조선으로의 많은 표류민들이 발생했다. 하지만 조선의 태도는 외부의 발전과는 무관하게 쇄국적인 태도로 일관했고 그저 절차에 따른 표류민들을 돌려보내기 바빴다. 이는 더 넓은 세상에 존재하는 문화와기술 발전을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 자체를 무시했다고 볼 수 있다.


정운경의 책에는 탐라라는 섬에 대한 또다른 글들이 존재한다. 그 수려한 풍경과는 대조적으로 가난하고 척박한 환경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는 남자들이 바다로 나가서 고기 잡이를 하다 죽는 경우가 많고 남겨진 여자들은 대부분 혼자 힘으로 살아 남아야되는 척박한 환경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그의 글에 대한 제주도에 대한 여행기는 읽을만하지만 제주도민들에 대한 자세한 생활상이나 그 시대의 모습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것은 책의 아쉬운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