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이제껏 참아온 그것, 알레르기입니다
조상헌 외 지음 / 지식너머 / 2019년 12월
평점 :
일시품절


누구나 하나쯤 가지고 있는 알레르기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인간 몸안의 면역세포들은 주인의 몸을 지키기 위해 항상 경계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수상한 녀석들이 침투하면

공격한다. 이때 그 수상한 녀석들이 별 해가 없다면 공격하지 않고 해가될 놈들만 공격하면 이상적이다.

이럴경우 알러지는 없다.

그런데 면역체계에 혼란이와서 침투한 녀석들이 아군인지 적군인지 모르면 일단 공격한다. 이때 알러지가 생긴다.


현대는 과거에 비해 사회환경이 훨신 위생적이 됐는데 아이러니하게 과거에 비해 요즘 사람들에게 알러지가 

더 많다.


이에 대해 위생가설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적당히 지저분한 (치명적이지 않은) 생활에서 살면서 

유해균을 견뎌내야 알러지가 없다. 요즘에는 지나치게 깨끗한 환경으로 면역을 접할 기회가 없어서 

알러지에 더 약해지는것

(물론 이에 대한 반대파도 있다.)


국민들의 의료지식수준이 높아지며 알러지 병원에 오면 다들 "면역이 떨어져서 그렇죠?" 라고 말한다 한다.

저자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오히려 면역반응이 일반인보다 과해서 알러지가 생긴걸수도 있기에 

전문의와 이야기 해보라 한다.


책에서는 다양한 알러지에 대해서 다루었지만 내가 겪고 있는 피부 알러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1. 피부가 가려운것은 피부 아래 존재하는 비만세포 때문인데 이 비만세포는 통통하게 살이찐 모양이라 그런것이고

진짜 살이찌는 비만과는 무관하다. 

이 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각종 화학물질을 내뿜는데 이중에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피부를 가렵게 한다.


2. 두드러기는 주로 밤에 심해지는데 이는 알러지 염증을 막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가 밤에 떨어지기 때문

으로 추정


3. 두드러기가 6주이상 지속되면 만성인데. 이중에는 자가면역 (면역반응의 실수로 면역세포가 자신의 몸을 공격)

성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4. 검사의 종류는 다양

- 알러지 피부검사 (접촉성 피부검사)

메타콜린 피부검사 : 메타콜린을 주사하고 두드러기가 나는지 확인, 콜린성 두드러기 확인시 사용

- 자가혈청 검사 :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알러지 검사시, 자가면역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알러지 반응

- 얼음조각 검사 : 찬공기/찬물에 노출됐던 피부가 다시 뜨거워지면서 가려움/두드러기 발생하는 환자에게 사용


5. 먹는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극단적인 단식, 채식은 오히려 악효과다. 방부제가 많이 들어간 인스턴트 식품

가공육, 등푸른 생선은 히스타민이 많으니 좋지 않다.


6. 1차 치료는 항히스타민제 인데 여기서 효과가 없다면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을 사용 

단 장기간 고용량 투여시 부작용 발생

오말리주맙이라는 항체주사도 사용한다. 이는 IgE 항체를 붙잡아 알러지를 예방

염증물질인 류코트리엔을 조절하는 항류코트리엔제도 보조적으로 사용

비타민 D는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 존재


7. 보습

피부보습이 중요하다. 여러차례 반복해서 보습하는 것이 좋고 로션, 크림, 연고 타입중에 잘 맞는것을 사용

두껍게 바르면 역효과가 난다



다니던 병원의 의사가 말했다. 두드러기는 죽지는 않지만 삶의 질을 크게 떨어트린 다고 

동의 한다. 삶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한 알러지 환자들의 쾌유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