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쯤 들어봤을 그 이름 소크라테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상대의 주장에 질문을 계속하여 모순에 빠져 자신의 주장이 

틀렸음을 인정하게 만드는 화법을 썼다. 그에게 영향을 받은 철학자들도 다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철학에 심취하여 많은 사람들과 대화했다. 똑똑하다는 사람들과도, 무지하다는 사람들과도

대화하면서 깨달음을 넓혀갔다.


그의 말년에 그는 법정에 선다. 죄목은 

"그리스가 믿는 신을 부정하고 젊은이들을 현혹하여 옳지 않은 길로 인도한다" 는 것이었다.

소크라테스는 주장한다. 자신은 신을 부정하지 않으며 청년들을 옳지 않은 길로 인도하지도 않았다고.

그를 비난하는 입장이었던 멜레토스와 질문을 주고 받으면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한다.


변론을 마치고 배심원들이 투표를 했을때 61표 차이로 패배한다. 아슬아슬하게 진 그는 

우쭐해져서 의기양양하게 자신은 벌금형으로 그치면 충분하고 사형은 턱도 없다면서

사람들의 심기를 자극한다...

재차 이어진 투표헤서 그는 아까와는 정 반대로 큰 표차이로 유죄확정되며 사형을 선고받는다.


사형은 바로집행되지 않고 아테네 감옥에 갇혀 있게 된다. 그는 거기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를 찾아온 크리톤, 파이돈 같은 사람들이 그를 걱정하고 

다시 무죄를 받을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고 한다. 이에 소크라테스는


철학자로써 진정 옳은것이 무엇인지 늘 찾고 있었다. 그런데 사람은 육체의 존재로 

옳바른 길을 갈 수가 없다. 죽는다면 육체를 버리고 정신만 남기에 옳은길을 갈 수 있을 것이고

그렇다면 철학자로서 죽음을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 면서 자신을 걱정하는 친구들을 오히려 위로한다.

그리고는 친구들, 제자들과 긴 대화를 이어간 후에 덤덤히 독약을 마시고 죽는다.


사람은 죽음앞에서 겁이 나기 마련인데, 소크라테스는 담담하게 자신을 변론한다.

찾아보니 그가 사형선고를 받았던 것은 정말 신을 부정해서라기보다는. 당시그리스의 정치적 

상황이 한 몫 했다고 한다. 소크라테스를 '위험인물' 로 여겼던듯 하다.


그 상황에서 열정적으로 변론해서 첫 번째 변론때는 아슬아슬하게 지고 

(물론 그 다음에 입을 털어서 크게 졌지만..)


감옥에 가서도 의연하게 죽음을 기다리고, 친구, 가족들을 챙기고는 운명을 받아들인다. 


흠....나라면 이게 가능할것인지, 참 깨달음을 알기위해서 죽음을 순순히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