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인도 신화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천축 기담 지음, 김진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도신화는 인도를 중심으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신앙하는 힌두교 신들의 이야기이다.

힌두교는 다신교로 원래는 고대 인도에서 발생한 브라만교 였으나 시간이 흐르며 힌두교로 발전했다.


기원전 1500년경에 북방에서 아리아인이 인도를 침임했다. 이들의 종교가 브라만교 였다.

그들은 브라만교를 전파했고 카스트 제도를 뿌리내렸다.

(브라만 > 크샤트리아 > 바이샤 > 수드라 > 그외)


고대인도의 왕국들은 브라만교를 보호했다. 크샤트리아 계급의 역할이 브라만을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차 브라만교에 반기를 드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기원전 5세기 생겨난 불교도 그중 하나다. 점차 브라만교가 위기에 처하게 되자. 

브라만교의 중심세력은 타종교의 세력까지 자신의 종교에 흡수하여 발전 시켰다. 


결국 브라만교는 카스트 제도와 전통을 유지한채로 다양한 요소를 받아들이며 힌두교로 발전했다.

이후 힌두교 왕국은 무슬림들의 압력으로 갈림길에 서게 된다.

16세기들어 무슬림 제국인 무굴제국이 북이도를 장악하고 힌두교를 금지한다.


지금도 북인도, 남인도 사이에 퍼져있는 종교가 다르다. 북인도는 무슬림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남인도는 힌두교 문화가 더 널리 퍼져 있다.


힌두교의 기본이 되는 경전은 브라만교의 경전 베다 이다. 이것은 신의 계시를 담은 경전으로 

베다는 브라만스승으로 부터 구두전승으로 전해지기에 내용을 다 암기해야 한다.


크게는 4대경전인 리그베다, 사마베다, 야주르베다, 아타르바베다가 있고

베다의 부속소들, 서사시들, 푸라나 문헌, 생활규범, 희곡등 다수의 경전이 있다.


인도신화는 앞서 말했듯 유일신이 아닌 다양한 '신' 을 인정한다. 그래서 저자의 성향에 따라

중심이 되는 신이 다르다.

신은 인간과의 관계가 밀접해서 좋게든 나쁘게든 인간의 삶에 개입한다.

기본전제가 브라만이 최상위의 존재이기 때문에 브라만에대한 찬양이야기가 많다.

이 세계가 발생과 소멸을 반복한다는 전제를 하고 있다. 


아무래도 생소한 내용일수 밖에 없다. 잘 알려지지 않은 힌두교에 대해 

쉽게 설명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