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님, 이달의 영업이익이 얼마입니까? - 왠지 잘 풀리는 회사에는 이유가 있다
김상기 지음 / 치읓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세무사무소에서 20여년전도 일하다가 중소/중견 회사의 대표들이 생각보다 회계 세무에 

관심이 적다는 것을 알고 세무대행을 해주는 회사를 창업했다.


그러면서 소위 잘되는 회사와 잘 안되는 회사를 보면 가장 기본적인 것은 회사의 임/직원들이 회계숫자에 

관심을 어느정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달린다고 한다. 


흔히들 기장대행은 세무회사에서 해주니 세세하게 묻지도 않고 납입증만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아쉽다고 한다. 돈을 주고 기장대행을 맡기는 만큼  매출, 이익이 얼마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회사의 기본은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오늘내일 하고 끝날게 아니기 때문에 들쭉날쭉하지 않고 꾸준히 이익이 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영업이익이 100만원, -50만원, 300만원, 0원...이렇게 들쭉날쭉하면 계획을 세우거나 예측하기 어렵다.

100만원이든 200만원이든 꾸준히 안정적으로 들어오는 회사가 건강한 회사다.


기본적으로는 매출 > 매입 이어야 한다. 최소한의 기본이다. 밑지고 팔면 남는게 없으니까

여기에 팔기위해 소요되는 판관비까지 더한 '매입금액 + 판관비' 까지 고려하면 기본적인 영업이익은 

산출된다.


영업부에서는 단순히 매출액을 늘리는 것에만 목표를 둘게 아니라 영업이익률을 같이 챙겨야 한다

매출1억 / 영업이익1백만원과 

매출 5천만원 / 영업이익 5백만원은  결국 후자가 회사에 더 유용하다.

매출은 거의 모든 회사들이 신경쓰는 항목인데, 이익에 대해서는 관심이 덜하다. 


기업이건 사람이건 현금관리를 잘 해야 한다.

매출이 곧바로 현금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매출채권이 들어오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거래처별 매출채권 관리를 해야 하고 현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봐야 한다.

물론 현금을 쌓고만 있으면 발전이 없기에 투자도 해야 한다. 그래서 현금 관리가 어렵다.


대표가 모든 실무를 할수는 없다. 그럴거면 직원을 뽑을필요가 없으니, 

하지만 거수기처럼 의사결정만 내리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취합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회사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필요하다.


중소중견의 대표는 보통 월급사장이 아닌 개인회사의 대표인 경우가 많아. 당연히...월급사장보다 

회사 운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야 하고, 회사의 직원들도 회사의 실적과 관련된 숫자에 

민감할 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