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키드 애자일 - 경영의 눈으로 애자일 바로보기
장재웅.상효이재 지음 / 미래의창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년전부터 우리나라 기업경영계에서 '애자일경영' 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영단어 뜻 그대로 민첩하고 기민한 조직경영 방식을 말하는데, 해외에서 들어온 경영방식이 그러하듯

국내로 들어오는 과정에 많은 진통이 있었다.

어떤것이 진정한 애자일 경영일까 


애자일은 전통적 합리주의 경영과 대척점에 있다.

절차와 도구보다는 사람간 상호작용을, 

경직된 계획보다 유연한 적응을

채찍을 통한 동기부여보다는 목적과 의미 부여를 통한 동기부여를 강조한다.


이는 새로운 소비주역이자 노동인력인 밀레니엄 세대가 선호하는 특징이기도 하다.

기업이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기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다.


애자일이라는 단어때문에 뭐든지 빨리처리하는 조직으로 오해할수 있다. 그렇지 않다.

애자일은 효율보다는 효과성을 중시한다. 빨리 처리 하는걸 목표로 하기 보다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에서 많은 조직들이 애자일을 도입하고 '빨리' '원하는 대로 즉시' 를 요구하는데 이건 애자일 방법론이 아니다.

​애자일을 빙자한 테일러 조직이다.


처음에는 작았던 조직이(주로 스타트업) 어느정도 성장을 거두고 인원이 50~100명정도가 되면

어떻게 해서든 새로운 조직이론이 도입되어야 한다. 초기 창립멤버들만으로 통제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이때 조직구조를 잘못 짜게 되면 사일로 현상으로 인해 조직간 소통이 안될 가능성이 있다.


가장 좋은 조직은 '서로간에 친밀한 동료' 가 있는 조직이다.

서로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조직이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대부분 기업내에 조직원들은

늘 바쁘다. 마음을 터놓고 옆부서 동료와 업무에 대해서 생산적 논의를 할 시간이 없다.

애자일 조직은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불필요한 계획세우기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않는다.

- 급변하는 환경속에서 계획을 위한 계획은 무의미 하다. 현상을 보면서 즉시 수정한다.

2. 고객과의 접점에 있는 조직/구성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 일을 하는 실무진에게 충분한 권한을 부여한다.

3. 민첩하면서 효과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진다.

4. 정보가 높은 수준으로 다수에게 공유된다.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는 말단 조직에까지 공유된다.


홀리크라시, 스포티파이 매트릭스, 길드, 하이브리드등 다양한 조직구조에 대한 설명도 같이 하고 있다.

제대대로된 조직구조 이론이 필요한 담당자들이 읽으면 좋을 내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