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그리 빈테르의 아주 멋진 불행
얀네 S. 드랑스홀트 지음, 손화수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잉그리 빈테르는 두 자녀를 둔 부부의 엄마로 대학에서 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남편은 법원에서 일을 하고 부부관계는 그럭저럭이다.

회사(대학교) 에서는 구조조정이니 뭐니 해서 자꾸 자신을 힘들게 하고 

이에 저항하려는 동료들이 자신의 등을 자꾸 떠민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흘러가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 몸부림 치지만 

뜻한대로 되지 않고 그가 계획했던 이사도, 학교에서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한 일도 자꾸 꼬여 간다.


이 책의 배경은 노르웨이다. 복지가 잘되어 있다는 복지천국 북유럽 (그중 노르웨이)

책을 읽는 내내 든 생각은 "사람사는 곳은 어디나 비슷한 문제가 있구나" 라는 것이다.

복지가 잘 되어 있어도 사람들은 좋은집에 살고 싶은 욕망은 동일하고 

회사에서 상사와의 갈등은 늘 존재하고 그 갈등을 (북유럽이라고) 올바르고 공정하게만 풀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처럼 까라면 까라는 식의 상사는 어디나 존재한다는것

모든 사람들이 다 여유가 넘쳐서 친절한것은 아니고 이기적이고 음험한 사람은 어디나 있다는 

사실인데...한편으로는 당연한것인데 내가 유럽에 대한 환상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소설내내 주인공 잉그리씨는 답답한 행동을 반복한다. 결단하고 아니라고 말해야 될때 그렇게 말하지 못해서

끌려다니는 경우가 한두번이 아니다.

"왜 그렇게 못하니 답답아..." 라고 말했다가 내 생활을 돌아봤다.

나는 회사에서 어떤지. 나도 원치 않은 일을 떠맏아 본적이 있고 거절을 못해서 원치 않는 결과를 

받은적이 있었다.


그런거 있지 않은가 회사생활하다보면 저 사람이 나를 안좋게 몰아가는데 딱히 아니라고 하기도 뭐하고

맞다고 하기도 뭐한 상황...여러분들은 없는지....나는 있다.


나의 답답한 모습이 보여서 더 주인공에게 반감아닌 반감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결론은 잉그리씨의 일은 잘 마무리 된다.

'멋진 불행' 이라는 것은 없겠지만 결과적으로 잉그리씨의 가장큰 갈등?은 해결되고 

나름 해피엔딩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