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지리 바탕 다지기 : 국토지리 편 지식의 깊이를 더하는 창의융합형 초등 사회 시리즈 2
이간용 지음 / 에듀인사이트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3학년 부터 새로 배우게 되는 과목들이 많이 늘어나지요.

그 중에서 사회 과목이 은근히 아이들의 발목을 잡는 것 같아요.

초등3학년 1년을 보낸 별양을 보니...

바탕지식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과거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삶의 모습을 이해하기 이해서는

국토지리를 공부하는 것이 기본 바탕이 되어야 한답니다.

우리 땅의 위치, 지형, 기후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우리 삶의 모습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답니다.


 

DSC06213.JPG

 

초등지리 바탕다지기 국토지리편

(초등3학년 이상)


초등지리바다 국토지리편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활동들로 이루어진

 워크북 형태로 되어 있어서 아주 재밌게 학습할 수 있도록 짜여져 있답니다.


우리 국토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애국가 1절을 살펴보며

동해물과 백두산의 위치를 지도에서 찾아보고

우리 국토의 북쪽 끝에서 남쪽 끝까지의 거리가 삼천리 정도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

그리고 약지도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그려보는 연습도 할 수 있었답니다 ㅎㅎ


 

DSC06216.JPG

 

세계 지도에서 우리 국토의 위치는 어디 쯤일까?

여러가지 세계 지도 속에서 우리 국토를 찾아보았어요 ^^

지도의 형태에 따라 우리 국토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우리나라가 속한 아시아 대륙이 어디 있는 먼저 살펴보아야겠지요.

그러면서 다른 대륙들의 모습을 함께 살펴보는 기회가 되는 것 같아요.

 

 

DSC06126.JPG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은

자연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되지요.

한국 마을이 위치한 모습과 이탈리아 마을이 위치한 모습을 살펴보며

왜 이 위치에 마을이 자리잡게 되었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잠깐만요! 에서 이탈리아에 대해서 알려주고

두 마을의 위치에서 얻을 수 있는 유리한 점을 유추해 볼 수도 있었답니다.

환경과 삶의 모습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이런 문제들을 통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겠지요.


 

DSC06219.JPG

 

이번에 우리 국토를 보다 더 정밀하게 그려보는 연습을 해봤어요.

칸을 나누어 칸칸이 하나씩 지도를 옮기다 보면

원본에 가장 비슷한 지도가 완성되어 지겠지요 ㅎㅎ

엄마보다 훨씬 우리 국토를 잘 그려준 것 같아요 ^^


 

DSC06220.JPG

 

우리의 국토는 동고서저 지형이지요.

동쪽에는 산맥이 있고 서쪽에는 평야가 많아요.

산줄기가 우리 삶의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답니다.

울 별양..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데 ㅎㅎ

여기서는 틀린 답을 골랐어요.

그래서 엄마랑 더 열심히 국토에 대해서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답니다.


 

DSC06221.JPG

 

수리적 위치를 이해하기 위한 위도와 경도

독도는 우리 땅 노래에도 나오 듯

독도의 위치를 수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동경 132 북위 37

노래를 부르면서 위도가 뭔지 경도가 뭔지

별양이랑 살펴볼 수 있어서 아주 좋았어요.

위도 경도 정말 헷갈리기 쉬운 부분인데

위도와 경도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문제를 풀면서 살펴볼 수 있어서 더 이해하기 쉬웠답니다.


 

DSC06222.JPG

 


DSC06223.JPG

초등지리바탕다지기 국토지리편

사회공부를 시작하는 초등3학년 이상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지리를 이해하면 사회 공부가 술술 된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