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스트링
미치 앨봄 지음, 윤정숙 옮김 / arte(아르테)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당신의 삶에 열정적인가요?

당신은 현재에 만족하나요?

전설의 기타리스트이자 한시대의 획을 그었던 프랭키 프레스토의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

​아르테의 신간이자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의 저자 미치앨봄의 새로운 신간인 매직 스트링을 소개합니다.

최근에 기타, 음악에 관심이 많은 저로서는 제 관심이 덧붙여져 금세 읽혀져 내려갔었는데요,

이책은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행크 윌리엄스와 같이 뛰어난 실존적인 음악가에 가상의 인물인

프랭키 프레스토를 덧붙이면서,  음악을 사랑하고 기타를 사랑했던 프랭키의 겉으로 알려진모습 외에 내면의  

모습을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성공 여부를 떠나 음악을 열정적으로 사랑했던 그 모습에서

제 모습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고, 예술가의 고뇌를 간접적으로 경험할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장례식에서 부터 시작이 됩니다. 사실 이 책의 주인공인 프랭키의 현재 모습은 우리는 볼 수 없습니다.

다만 우리는 과거의 모습을 통해서 프랭키는 이런 사람이었고, 주변 사람들에게 이런 평가를 받았구나 하고

알수가 있는것 같습니다.​ 영화는 장례식에서 시작한다는 것과 음악이라는 화자가 자신을 소개하면서 시작합니다.

프랭키는 이세상에 없지만 그와 함께 작업하고, 그를 사랑했던 사람들과 그의 곡은 남아 있기에 이 소식을 듣고

그의 죽음을 듣고 스페인으로 오게되고 추도사는 아니지만 한명한명 인터뷰를 하듯 프랭키가 어떤 사람이였는가를

소개 하고 프랭키라는 인물에 대한 퍼즐 조각을 하나하나 맞춰나가기 시작합니다.

​음악이 말해주는 프랭키의 성장과정과, 동료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그가 어떻게 자라서 유명한 뮤지션이 되었는지,

말해주고 있는데요, 음악이 삶이였고, 삶이 음악이였던 프랭키,

먼저 서평단으로 이 책을 접한 이 책에 대한 저의 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음악과 삶의 연관성​

이 책에 보면 누구나 태어나면 밴드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마치 우리도 살면서 밴드에 들어갈거라는 음악.

저도 이 부분이 참 와닿더라고요! 처음에는 밴드에 들어간다고? 생각했었는데,그 음악 밴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밴드입니다. 친구, 가족의 밴드에 소속되어 같이 지내다가 거리, 의견차이, 이혼 죽음으로 백드가 해체된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미치 앨봄은 삶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볼수 있는 문장들이 많은데 이 책역시 주인공은 죽고 없지만 그가 살았던 삶을 통해서 그가 얼마나 처절하게 살았고, 그의 인생가운데 많은 일들이 일어 났는지 알수 가 있습니다. 아무리 환경이 어려워도 기타를 놓지 않고, 기타에 관한 열정을 보면서 그의 죽음으로 인해 그 밴드는 끝이 났지만, 그를 통해 그처럼 밴드에 들어가고자 하는 사람이 많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나는 지금 어떤 밴드에 들어가 있고, 어떻게 살아보게 되었는지 돌아보게 되었던것 같습니다.

2) 나는 얼마나 내 삶에 만족하는 삶을 살고 있나요?

저는 요즘 인디 밴드를 좋아하고, 음악을 듣는걸 좋아 했는데 음악에 대한 관심이 있다보니깐 이 책이 더 재미있고

술술 읽히는 것 같았습니다. 실제로 인디 밴드의 공연을 본적이 있습니다. 보컬, 드럼, 베이스, 기타가 한음을 내고

우러러지고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보면서 진짜 좋아서 하는거구나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저는 책을 통해서 다른 직업군, 다른 상황의 모습을 상상하지만 늘 느끼는 것은 결국 중요한건 타인의 삶도 아닌

내가 써내려가는 나의 삶의 모습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책에서 음악이 말합니다. 프랭키는 나의 여러 제자중 하나로 나의 선물을 꽉 잡았다고.

재능만 있어서 다 되는 것이 아니라 정말 끝까지 붙잡고 열정있는 모습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 음악을 한다는 것, 예술을 하는 예술가의 고뇌와 고난

​흔이 드라마에서 보면 예술을 하는 작곡가나 가수를 보면 예민하고 민감한 성격을 많이 볼수 있습니다.

저 역시 제가 하는 일이 음악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그 들의 삶을 잘 알지 못했지만  이책을 통해서 보면 음악 , 예술을 하는 것이 얼마나 외롭고 더 많은 것들을 창작해야 하는지 고뇌를 간접적으로나마 느낄수 있었던것 같았습니다. 더 좋은 음악을 하기 위해 고뇌하고 고민하는 것을 보면서 아 ~ 저 삶도 겉으로는 화려해보이지만 그렇지 않구나 이렇게 생각했던것 같습니다.프랭키에게 기타를 알려주었던 스승은 이렇게 말합니다. 기타를 칠때에는 손톱을 깎아야 한다고. 손끝이 가장 민감하기 때문에 손톱을 깎고 손톱으로 음악을 느낄수 있다고 . 단순히 잘 치려고가 아닌 음악을 느낀다는

말이 와닿았습니다.


미치앨봄의 언어의 꽃을 피우는 이번 신간  [매직 스트링]  이 책의 주인공인 프랭키는 키타줄을 통해 울고 웃지만,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무엇이 우리의 인생을 바꾸는가를 느낄수 있었던것 같고 5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분량이지만 술술 읽혔던 즐거운 책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