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 - 한두 줄만 쓰다 지친 당신을 위한 필살기 이만교의 글쓰기 공작소
이만교 지음 / 그린비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라는 것도 일종의 의사소통의 한 방식이고 말과 음악처럼 세상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도구라는 생각으로 살아온 적이 있다. 그러나 글은 자신을 표현하는 것 이상으로 쓰면서 마음의 고통이 덜어지거나 고민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상한 마력이 있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러면서 조금씩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심을 하게 되고 어떻게 쓰는 것이 정말 잘 쓰는 것인지 궁금할 때가 있다.



이 책을 읽으며 글쓰기의 방법 뿐만 아니라 글을 읽는 태도, 글을 쓰려는 마음가짐, 또 실제로 글을 쓸 때 고려할 것을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어쩌면 단순히 돈벌이나 신인상 수상과 같은 등단을 위한 수단만이 아닌 글을 대하는 전반적인 마음가짐에 대한 종합서인듯 하다.



우선 독서하는 태도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그 동안 권수만 늘리려는 독서와 마치 읽어치우려는 독서 태도를 다시금 반성하게 한다. 책을 읽다 보면 나도 모르게 눈길이 가고 깊은 생각에 빠지게 하거나 감탄을 하게 되는 문장을 만나곤 하는데 이 문장이 중요하다. 저자는 이 문장을 ‘씨앗문장’ 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결국 모든 책들은 자기에게 공명하는 이런 씨앗문장을 만나는 일이고 글쓰기는 남들에게 줄 수 있는 씨앗문장을 만들어내는 일이라는 것이 마음에 와닿는다. 그 동안 독서를 하면서 나름 생각하게 하는 글들에 밑줄도 긋고 책 귀퉁이도 접게 하지만 내가 차후에 인용할 수도 있고 더 좋은 표현을 만들어내기 위한 보고인 셈이다. 그렇게 생각하니 독서하는 마음도 조금 바뀐다. 아무리 내용이 없는 책이라도 씨앗문장을 하나라도 찾을 수 있다면 손해보는 것은 아닐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없는 시간에 억지로 읽어가는 것은 불필요하다 하더라도 나와 공명하는 문장을 놓치지는 않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독서는 양적인 문제가 아니라 질적인 독서가 되어야 한다는 것도 전태일 씨의 경우처럼 한 권만 열심히 봐도 인생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알게 된다. 독서는 권수가 아니라 질이 문제였던 것이다.



그리고 글쓰기를 할 때 필요한 여러 가지 고려 사항도 굉장히 유용하다. 평소 말을 잘하면 글도 잘쓰겠거니 생각하였지만 단순히 말하듯이 글을 쓰는 것은 독자들과 공명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없음을 알게되었다. 서로 연관은 있지만 쓰임새가 다른 것이다. 또 편안하게 글을 읽을 수 있도록 일상언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도 주의해서 볼 일이다. 의사소통에서 손짓,몸짓과 같은 언어 이외의 것이 차지하는 비중이 80% 이지만 글은 이런 과정이 생략되므로 글을 통해서 정확한 표현이 필요하다는 것도 생각해볼 만하다. 정황도 모른 채 일상적인 얘기라고 그대로 표현하면 독자들에게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처음에는 힘들겠지만 다수의 언어로 표현하기 보다 자기만의 창작 언어를 만들어 내는 것이 결국 작가가 해야 하는 일이라는 것도 와닿는다. 남들이 많이 쓰는 표현이나 문구는 그것대로 식상할 것이고 고통스런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자신만의 문체를 찾아가는 것이야말로 글쓰기 연습을 하는 목표가 될 듯 싶다.



글을 쓴다는 것이 어떤 테크닉을 익히거나 정공법이 있는 것은 아닌 모양이다.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독자들을 위한 정확한 표현에 신경쓰고 시간적 순서에 의한 묘사가 아니라 ‘주제’에 맞게 ‘구현’할 수 있는 글을 추구하면 더할 나위 없는 글쓰기가 되겠다는 교훈을 얻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