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중일기 - 임진년 아침이 밝아오다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7
이순신 지음, 송찬섭 옮김 / 서해문집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알고 있었던 무패의 영웅 이순신도 상상하던 것과 달리 몸도 약하고 걱정 많고 때로는 남도 비난할 줄 아는 인간의 모습을 이 책을 통해 보았다. 임했던 모든 해전에서 승리했다는 얘기나, 일본 해군 교본 중에 이순신 장군의 전략과 전투 방법이 나와있다는 얘기를 들으며 늘 이순신 장군은 기골이 장대하고 한치의 빈 틈도 보이지 않는 당당한 장수의 이미지를 생각해왔던 거 같다. 그러나 장군의 일기를 보면 그저 한 인간의 모습으로 전투를 치뤄왔다는 사실이 새삼 놀라웠다.

하루가 멀다하고 식은 땀과 몸이 아픈 것도 그렇고 떨어져 계신 어머니의 안부를 챙기는 모습도 놀랍고 특히 원균과의 갈등도 이순신 장군은 어떤 비난에도 참아내는 모습일 줄 알았는데 어이없다는 표현으로 일기에 쓰여있는 것도 오히려 정감이 간다. 그리고 자신이 꾼 꿈에 대한 해몽을 통해 길조인지 흉조인지 판단하는 것도 전투에서의 불안함을 점괘를 통해 미리 확인해보고 싶은 우리네 마음과 비슷한 느낌이다. 그 동안 알았던 영웅의 꺽이지 않는 모습과는 사뭇 다르게 그저 우리와 비슷한 사람이였음을 느끼게 해주었다.

하지만 그런 모습 속에서도 한 가지 놀라운 건 거의 매일같이 일기를 썼을 정도로 부지런한 분이였다는 점이다. 자기 자신을 관리하고 어떤 일도 소홀히 하지 않는 이순신 장군의 인품이 나타나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도 유성룡을 생각하는 마음에서 느낄 수가 있다. 그런 인품이 오히려 영웅의 모습에 가까운 거 같다. 평범하지만 꾸준하지 않으면 빛을 발할 수 없는 일들을 묵묵히 하며 나아가는 모습이 통쾌한 해전의 승리보다 더 인상적이다.

그리고 한 가지 특이했던 것은 일기를 보며 장군이 승리한 전투의 통쾌함을 맛보고 싶었으나 그저 깨부셨다는 표현만 나올 뿐 자신의 승리를 높이거나 과장한 흔적이 없어 우리가 알고 있는 대첩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아마 저자의 설명이 없었다면 잘 모르고 지나갔을 것이다. 물론 승리한 뒤 부하를 챙기는 모습은 예상한대로지만 여러 해전에서도 승리에 대한 규모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이것은 후세 사람들이 오히려 더 영웅시하기 위해 크게 부풀리진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든다.

그렇다 하더라도 일기 내용 중 패했다는 말은 보지 못했으니 역시 이순신 장군의 전략은 탁월했을 것이다. 그 시절 좀더 큰 역할을 더 할 수 있었다면 우리 나라의 현재 모습도 많이 달라졌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부분이 책과 상관없이 이순신 장군을 생각하면 늘 아쉽다.

일기 내용은 늘 날씨로 시작하는데 사실 그 부분은 많이 궁금했다. 바다를 지키는 분이라 날씨에 민감한 것이였는지 아니면 나름의 형식이였는지 모르겠지만 쓸 말이 없는 날도 날씨는 써두었을 정도로 자기 자신과의 약속을 지켜나가는 모습이 멋진 전략보다 우리가 배워야할 것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