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씨 빠빠! - 아이와 함께 크는 한국아빠의 프랑스식 육아
정상필 지음 / 오엘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곳곳에는 프랑스식 육아의 메시지가 배여 있다. 그것도 프랑스 사람도 아니고 교육전문가도 아니다. 전직 일간지 기자였던 40대 중년의 한국인 아빠가 프랑스인 여성과 결혼을 해 전업주부(암탉아빠)를 선언하고 네 명(딸 하나, 아들 셋)을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현재의 얘기다.


그렇다고 특별한 재능을 가진 아이들을 키우거나 육아적으로 대단한 일가를 이루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책을 읽다보면 육아나 양육, 교육, 출산, 육아시스템 등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던져준다. 어쩌면 프랑스 육아의 실천편이라 할 수 있는데, 여러 가지가 인상적이다.

 

아이들을 키우는 것은 좌절

프랑스 육아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가 좌절이라는 경험을 통해 절제를 배운다는 것이다. 프랑스의 대형마트에서는 떼를 쓰는 아이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은 아이들이 원하는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하다

프랑스에서는 아이의 노예가 되지 않는다. 아이를 위해 부모의 행복을 포기한다면 결국에는 아이도 불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책에서도 불행한 삶을 사는 부모가 아이를 행복하게 키울 수 있을까?’라는 끊임없는 질문도 같은 의미다.

 

부모를 어른으로 만든 것은 아이들

프랑스에서 육아의 교과서로 추앙받는 아동심리학자 프랑수아즈 톨토의 엄마를 만드는 것은 아이라는 말처럼, 저자는 기저귀를 갈고 이유식을 만들면서 순간순간 벽에 부딪힐 때마다 오늘의 이 절망만큼 어른이 됐구나라며 아이와 함께 크는 육아법을 실천하고 있다. 책에서도 나를 낳아 길러준 것은 내 부모지만, 나를 어른으로 만드는 건 내 아이들이다.”라고 말한다.

 


외에서도 아이가 아무리 울어도 안아주지 않는 엄마’, ‘꼭 사주지 않아도 되지만, 제발!’ 등 흥미로운 프랑스 육아와 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는 얘기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에필로그에서 “‘가족은 경험을 나무는 기억의 공동체라고 했던가. 그런 의미에서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며 기억들을 차곡차곡 쌓고 있는 나는 행복한 아빠다.”라는 저자의 말이 무척 공감된다.


독박육아에 지친, 아빠를 육아를 하는, 육아를 앞둔, 결혼을 준비하는 등등 많은 분들에게 소중한 책이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인구절벽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의 출산율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도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