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이 멈추자 일기장을 열었다 - 한국 아빠 프랑스 엄마와 네 아이, 이 가족이 코로나 시대를 사는 법
정상필 지음 / 오엘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 일이 눈앞에서 벌어질 때 충격적이었다. 그것도 인권의 나라 프랑스에서 개인의 자유를 전면 통제하는 전국민 이동제한령이라니....
이 책의 저자이자 아빠의 심경이 백분 공감이 되는 부분이다. 그런데 예상과 달리 자가격리된 56일 동안 이 가족이 살아가는 이야기는 따뜻하다. 심오한 라이벌 관계인 둘째와 셋째의 끝임없는 싸움이나 한국 아빠와 아이들 간의 소통의 문제 같은 것은 아니지만 손편지를 주고받고 놀이기구를 함께 만들고 같이 잔디를 깎고 퍼즐을 맞추고.... 그 기간 동안 초콜릿 케이크에 초 하나 꼽고 넷째의 돌잔치도 하고 첫째의 열한번째 생일판티도 하고....
어떻게 보면,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시선으로 보면 별로 특별할 것 없는 일상들이다. 자극적이거나 억지스럽지도 않다. 그런데 읽고나면 뭔가 잔잔한 위로가 된다. 그러면서 '가족이란 무엇인가'를 되새기게 한다. '행복'이라는 의미도....
“불행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모습으로 불행하지만,
행복한 가정은 저마다의 이유로 행복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824/pimg_7700131732648646.jpg)
어쩌면 프랑스식 육아법의 정수가 들어 있는 표현이다. 부모의 욕망이 육아의 한 중심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육아의 중심에 아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물론 순전히 내 방식의 분석이다. 토종 한국인인 나로선 그런 식의 육아법이 많이 낯설었다. 처음엔 불편하기까지 했다. 내 즐거움을 위해 아이들을 뒷전에 두는 것 같아 죄스러운 생각이 들 때도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은 아내보다 내가 더 내 (결핍에 따른) 욕구를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 P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