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상에서 부딪히는 철학적 질문들
앤서니 그레일링 지음, 윤길순 옮김 / 블루엘리펀트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일상에서 부딪히는 철학적 질문들이 몇개나 될까?

사실, 그냥 넘어가던 것들도 다른 쪽으로 생각해 봤다면 충분히 철학적 질문들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책에서는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 봤을 질문들, 어쩌면 생각도 못했을 질문들을 던져주고 있다.

 

질문을 하지만 답을 주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정답을 강요하지도 않는다.

철학은 사실 모든 질문에 명확한 답이 있는것이 아니다.

 

책은 총 101가지의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리고 질문을 할 때 주요 단어 한단어를 써주고 그 아래 질문을 한줄로 써놓는다.

어떤 단어를 주제로 얘기하는 지 알 수 있게.

길게는 4-5장 정도의 내용이고 짧게는 1장 정도 되는 내용이다.

그리고 중간에 친절하게 블로그 주소도 남겨놨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한번쯤 다시 생각해 보게 된 질문들에 대해 적어놨다.

먼저 도덕과 우정, 그리고 도덕적인것과 윤리적인것, 훈계할 자격, 피해에 대한 인식(불행과 피해), 사회악, 병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 여행과 관광의 차이 등. 특히 여행과 관광의 차이에서 크게 공감했다.

 

자세한 내용을 파고들어가 보면, 그저 알고 지낼 뿐인데 우정을 쌓지도 않았으면서 그런것을 우정이라 부르는 경우, 아름다움은 주관적인 것일까?

난 아름다움은 주관적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마다 각자의 개성이 있듯 보는 눈도 다를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보편적인 아름다움이라고 해도 보는 사람의 생각이나 심리, 마음가짐에 따라 다르게 보일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건강과 외모에서 유행이 바뀌는 것은 제먹대로 그런것일까? 아니면 무엇이 우리에게 좋은지 더 잘 알게 된 결과인가? 이부분은 사실 생각해 보지 못했던 부분이었다. 유행이라는 것이 매해 바뀌는 건데 그게 정말 제멋대로, 그 분야에서 권위있는 사람이 정하는건지, 아니면 우리에게 무엇이 더 좋은지 잘 알게되는건지 말이다.

 

또한 진정한 민주주의는? 역사의 경계, 장수에 관한 딜레마와 물을 사용하는데도 윤리가 필요한지, 이타심과 이기심의 차이는 뭔지, 성형수술의 가치의 의심, 천재란 무엇일까? 나쁜 사람에게 나쁜짓을 하는것이 용인될까, 흡연에서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태도, 그리고 요즘 또 이슈가 되고 있는 스포츠의 부정행위 등이 내 관심을 끌었던 질문들이었다.

 

일상에서 그냥 넘어갔던 질문들과 생각해보지 않았던 질문들을 마주하게 되서 다시 한번 곰곰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생각 선에서 마주하는 저런 질문들에 대한 답을 생각해 보면서 내 생각을 좀 더 정리 할 수 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