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대요동지배정책연구
남의현 지음 / 강원대학교출판부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중국의 역사왜곡 문제로 만주지역은 우리의 관심을 끌고 있다. 명나라 시대 역시 사실과는 다르게 압록강과 두만강이 조선과 명의 국경선으로 설정되는 등 많은 부분이 왜곡되고 있다. 명시대의 요동은 명나라의  만주강역, 조선과 명나라의 관계, 원명교체, 명청교체 등  근세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명대 요동을 연구한 전문적인 학술서적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책은 모든 주제를 다루고 있지는 못하지만  요동정책의 흐름과 특징을 학술적으로 탐구하려한 전문 학술서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명나라는 건국 직후 요동 일부지역을 차지하여 지역방어 사령부에 해당하는 요동도사(遼東都司)를 설치하였으나 본 연구서가 밝히고 있듯이 명나라가 차지할 수 있었던 지역은 오늘날 요녕성에 해당하는 일부지역에 불과하였다. 또한 몽골과 여진세력의 성장으로 명나라는 대외팽창을 포기하고 요동변장이라 불리는 방어선을 수축하였으나 이 역시 명왕조를 유지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었다.  본 연구서는 명나라가 초기부터 전 만주지역을 석권했다는 중국의 동북공정 성과와 이론과는 대치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 책은 요동도사의 설치와 정비, 대외진출의 한계와 요동변장의 수축, 내정의 문란, 요동팔참 지역(압록강~요양시)의 문제, 그리고 요동도사 쇠퇴 등의 다양한 주제를 통하여 조선과 명나라 사이의 요동을 둘러싼 사건, 명나라 대외팽창의 한계 등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또한 고구려와 발해를 중심으로 살펴보던 만주의 문제를 명나라 시대로 그 시야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는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성의 중국사
사카쿠라 아츠히데 지음, 유재춘 옮김 / 강원대학교출판부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장성의 중국사-중화와 유목 6000km의 공방-』는 춘추시대부터 명대에 이르기까지 장성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  역사를 새롭게 꿰뚫어 보고자 한 역서이다. 우리는 장성의 의미를 ‘나와 타자의 경계선’, ‘문명과 야만의 국경선’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으로 보아왔다. 그리고 중국 중심 세계관 속에서 장성을 ‘위대한 유산’으로 평가하는데  묵묵히 동의해 왔다. 그러나  만리장성 쌓기는 장구한 세월 동안 수많은 민중들의 희생을 통해 얻은 생존을 위한 방어본능의 산물이다.그리고 문명을 폐쇄된 벽 속에 가두는 고립된 장벽이기도 하였다.

이 책은 유목과 농경의 공방전 속에서 나타나는 장성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장성에 대한 편견과 오해 등을 해소하고 장성이 가지고 있는 진정한 의미를 저자의 전공을 살려 수준높은 시각과 더불어 재미있는 장성에 얽힌 역사 이야기로  그려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