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새로운 이름의 이야기 나폴리 4부작 2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 나폴리 출신의 작가 엘레나 페란테가 쓴 나폴리 4부작 중 제 2권은 '새로운 이름의 이야기'이다. 1권의 마지막 반전에 따른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얼른 2권을 구입해서 읽었다.

책의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 겉표지 앞의 제목 '새로운 이름의 이야기'에서 왜 이런 제목으로 정했을지 작가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았다. 언뜻 떠오르지 않는다. 그런데 제목 아래 그림을 보니 작가의 메시지가 확실해졌다. 그림은 붉은 석양이 물드는 저녁 다리 위에 젊은 여자가 홀로 서 있다. 다리 아래로 여러 권의 책들이 떨어지는 것으로 봐서 여자가 작정하고 책들을 버리고 있다.

이 여자가 화자인 주인공 엘레나 그레코라는 것은 책 1권을 읽었던 독자라면 짐작할 수 있다. 레누라고 부르는 화자는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상급학교로 진학한 뒤 계속 뛰어난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 그녀가 공부하는데 필요한 책들을 물 속에 빠뜨리고 있다. 그것은 학생이 아닌 새로운 이름을 갖는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렇다면 화자인 레누의 친구이자 또 한 명의 주인공 라파엘로 체룰로는 어떨까? 레누가 릴라라고 부르는 그녀는 1권의 마지막에서 스테파노 카라치와 결혼했다. 이탈리아에선 여자가 결혼하면 아버지 성을 버리고 남편 성을 따른다. 그러니 릴라도 체룰로에서 카라치로 바뀌었다. 이제 주변 사람들은 그녀를 릴라가 아닌 카라치 부인으로 부른다. 이것 또한 새로운 이름을 갖는다는 의미라고 하겠다.

2권은 레누와 릴라의 청년기를 다루고 있다. 아직 산업화가 되지 않은 이탈리아 나폴리 마을은 우리나라의 전근대적이었던 1960년대와 비슷하다. 이야기 속의 릴라는 초등학교 시절 우등생이었다. 아버지가 가난을 벗어나지 못한 탓에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채 아버지 일을 도우면서 지냈다. 그녀는 스무 살이 되지 않은 어린 나이에 식료품점을 운영하는 부자 스테파노와 결혼한다. 물질적 풍요를 누리는 릴라지만, 손찌검을 서슴치 않는 남편의 폭력에 시달린다.

반면 레누는 공부해서 대학교에 입학한다. 그녀는 시청 수위 아버지와 절름발이 어머니의 자랑이다. 레누는 자동차 정비공 안토니오 카푸초와 사귀는 사이지만, 둘의 관계는 불안하다. 레누가 마음 속으로 짝사랑하는 니노 사라토레가 있어서다.

니노는 어릴 적부터 릴라를 마음에 두고 있었고, 니노의 고백과 적극적인 구애로 릴라와 연인 사이가 된다. 니노를 사이에 두고 레누와 릴라는 삼각관계이다. 하지만 레누는 릴라와 니노에게 속마음을 내색하지 않는다.

이렇듯 2권은 등장인물들의 청춘기를 다루고 있다. 사랑과 결혼에 이르는 과정이 각자의 캐릭터에 따라서 다르다. 레누가 낙제점을 받지 않으려고 공부에 전념하는 동안 나폴리 마을의 젊은이들은 한바탕 사랑의 열병을 앓는다. 누구나 그렇듯 청춘의 시기에는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이 서툴고 미숙하다. 그리고 연인간의 사랑이 불같이 뜨겁고 강렬한데 비해 그리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

책을 펼쳐서 읽다보면 작가 특유의 쉽고 간결한 문체에 책장이 술술 넘어간다. 사람 사는 방식은 동,서양의 차이가 없다. 레누와 릴라의 이야기가 책 속에 머무는 게 아니라 내가 책 속으로 들어가 있다. 마치 나폴리 마을의 이웃이라도 된 듯 가까이에서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게 작가의 내공이다. 소설 속 주인공의 감정에 따라서 내 감정도 들었다 놨다하면서 요동치고 있다.

어느 새 책의 마지막에 이르렀다. 레누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작가로 책을 출판한다. 그것을 기념하는 독자간담회에서 의외의 인물을 만난다. 여기서 반전이 시작된다. 또 얼른 3권을 읽고 싶다.

 

http://blog.naver.com/geowins1/2210808328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눈부신 친구 나폴리 4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의 대선주자였던 힐러리 클린턴이 엘레나 페란테가 쓴 '나폴리 4부작'을 읽었다는 기사를 접하고 나서 '나폴리 4부작'에 관심이 생겼다. 어떤 내용이길래 미국의 정계를 쥐락펴락할 위치에 있었던 여장부 힐러리의 마음을 사로잡았을지 궁금했다.

드디어 '나폴리 4부작'의 제 1편 '나의 눈부신 친구'를 펼쳤다. 책의 겉표지에 두 여자가 해변을 바라보면서 나란히 앉아서 서로 손을 포개고 있다. 배경의 색감이 선명하고 화려하다. 책 제목에서 드러나듯 두 여자는 친한 친구 사이로 보인다. 그것도 눈부신 친구라고 칭할 만큼 둘은 서로 좋은 영향을 주고 받는 사이이겠지.

겉표지를 넘기니 작가의 이력이 나온다. 이탈리아 나폴리 출신의 엘레나 페란테는 나에겐 생소한 작가이지만, 그녀의 조국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베스트셀러 작가였다. '나폴리 4부작'은 소설가 한강이 받은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이쯤에서 얼른 다음 장으로 넘기고 싶었다. 괴테가 쓴 파우스트의 한 문단이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 '내 기꺼이 그를 자극하여 악마의 역할을 해낼 동반자를 그에게 붙여주겠노라'는 문장이 의미심장하다. 나의 눈부신 친구는 악마의 역할을 해낼 동반자를 뜻하는 걸까? 왠지 악동의 이미지가 떠올라서 그녀들이 사건, 사고를 일으키면서 온 동네를 휘젓고 다니지 않을까?

다음 장에 목차가 나온다. 등장인물, 프롤로그, 유년기 돈 아킬레 이야기, 사춘기 구두 이야기로 간단하다. 목차를 자세히 적어두면 예측이 가능할 텐데. 하지만 두 여자의 성장기와 그 속에서 커가는 우정을 다루었을 거란 추측을 해본다.

등장인물이 꽤나 많다. 하지만 등장인물들로 인해 중압감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 책 한 권의 마지막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레 인물들 면면이 파악된다. 작가는 그 많은 등장인물들을 누구 하나 소홀히 여기지 않고 비중있게 다루었다. 소설에서 말하는 이 즉, 화자는 엘레나 그레코로 애칭이 레누이다. 화자의 친구는 라파엘로 체룰로로 릴라라고 부른다. 화자 레누가 친구 릴라를 둘러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와 얽힌 사건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야기는 노년에 접어든 레누가 릴라의 아들로부터 걸려 온 전화를 받으면서 시작된다. 어머니 릴라가 사라졌다는 연락을 받은 레누는 과거 릴라와의 추억을 회상한다. 릴라는 학업성적이 우수했지만 구둣방을  운영하는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진학을 포기하는 반면 레누는 계속 학업을 이어간다. 그래도 각자 다른 길로 나아가지만 둘의 우정은 변함없이 돈독하다.

마치 작가의 어린시절을 들여다보듯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아버지의 가부장적인 권위와 자녀 학대, 남녀 차별 등 아직 산업화가 되지 않은 가난한 마을의 풍경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아마도 우리나라의 1960년대 이전 모습이 그러했으리라.

책에는 유년기에서 사춘기로 넘어가면서 겪는 신체적 변화를 대하는 또래 여자아이들의 대화가 여과없이 나온다. 여자아이에서 여성으로 성숙해가는 과정이다. 문득 그때의 나는 어땠을지 기억을 더듬어보았다. 그동안 여성의 성장기를 이토록 상세히 묘사한 책을 읽은 적이 없었다.

책을 펼쳐든 이상 책을 덮고 다른 일을 할 수가 없었다. 레누와 릴라의 성장에 맞춰서 독자인 나도 성장해가는 착각에 빠져들었다. 여자아이의 눈으로 바라본 일상을 다루지만 당시의 시대 상황과 맞물려서 무난하지 않다. 때론 남자들끼리 주먹질을 하는 등 거친 폭력이 오간다. 그래서 때론 영화의 한 장면을 바라보는 듯 아슬아슬한 긴장이 느껴진다.

하지만 무엇보다 1편의 마지막 반전이야말로 2편을 읽게끔 충동질한다. 장편소설의 내공이 느껴진다. 얼른 2편을 구입해서 읽어야겠다. 

 

http://blog.naver.com/geowins1/2210569836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