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시대의 문학 창비신서 23
염무웅 / 창비 / 1984년 9월
평점 :
품절


염무웅의 첫 평론집인 <민중시대의 문학>을 읽었다. 백낙청과 함께 초기 창비의 논객으로 활약했던 그였던 만큼, 이 책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적인 신념은 '역사'와 '실천'에 있다. 역사에 대한 시각은 철저히 민중적이고, 실천은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지금은 노학자가 되었지만 저자의 젊은날의 열정이 얼마나 뜨거웠던가를 새삼스럽게 느낄 수 있다. 지식이 현실과 역사에서 뛰어올라 허공중의 관념으로 놀아나는 것에 대한 철저한 비판정신이야 말로 이 저자에게서 배울 수 있는 제 1의 덕목이다.

일반론을 다루고 있는 제 1부, 시에 관한 글들을 싣고 있는 제 2부, 소설에 관한 글들을 싣고 있는 제 3부, 이렇게 세 부분으로 짜여져 있는 이 책은 저자의 민중에 대한 사랑과 역사에 대한 신념과 실천의식을 매개로 하여 하나의 이론적, 비평적인 성취를 일궈내고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제 1부의 일반론인바, 여기서는 우리 근대문학사의 핵심적인 문제들인 이식문학론, 근대기점론, 식민지근대화론 등에 대한 저자의 탁월한 견해를 보여주고 있다. 근대의 기점을 억지로 끌어올려 잡으려는 시도를 비판하고, 시대구분의 적확한 구도 속에서 근대적 지향(반봉건)과 민족적 지향(반제국주의)의 극복을 근대의 요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이식문학론 비판을 다시 비판하고 이식문학론의 역사적 정황을 고려하여 그것을 부정하려고 하지말고 역사적 산물로서 우리 근대문학사의 일부로 재평가해야 함을 역설한다. 식민지근대화론 또한 근대적 지향만을 고려하고, 민족적 지향을 고려하지 않은 편견의 산물임을 타당한 논거를 들어 비판하고 있다. 특히 1부의 글들은 조동일 교수도 긍적적으로 평가한바 있다.(조동일, 국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

이 저서 이후, 후속적인 작업들이 더 활발히 전개되지 못했던 점은 저자의 입장에서나 독자의 입장에서나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얼마 전에 저자는 새로운 평론집을 상자했다. 관심이 가는 책이다. 저자의 변한없는 신념과 20여년의 간극이 주는 변모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같다.

육체적 노쇠가 정신의 가열찬 신념을 꺽을 수 없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