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 페이퍼로드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이문영 지음 / 페이퍼로드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는 이문영 작가가 야심차게 낸 책이다. 이 작가는 이전에 환빠를 비롯한 유사역사학 추종자들의 주장을 비판하는 책을 여러 권 낸 적이 있다. 그는 이번에는 한국 고대사를 다루는 교양 책을 내었는데 바로 이 책이다. 그 동안 한국 고대사를 다루는 책들은 유사역사학측 책이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그래서 대중들에게 유사역사학적 주장들이 사실인양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그에 비해 학계의 주장에 맞게 한국 고대사를 다룬 책은 많지 않았다. 역사학계의 주장은 전문적인 책이나 논문으로 알려졌기에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가 없었다. 그런 가운데 이문영 작가가 학계의 주장을 반영한 한국 고대사 교양서적을 낸 것은 매우 환영할만한 일이었다. 나는 이 책을 받고 흥미롭게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4개의 장으로 나눠져 있다. 1장은 고조선이고, 2장은 고대사의 미스터리, 3장은 삼국시대, 4장은 삼국통일전쟁이다. 이 책의 특징 중 하나는 고조선을 다루는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전체 내용 중 4분의 1이 고조선이다. 그 동안의 한국사 책들을 보면 고조선에 대해서는 아주 짧게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 고조선의 기록이 별로 없는 것도 한 이유겠지만 고조선에 대해 알려진 것이 별로 없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교과서에서도 고조선은 건국신화와 멸망 등 일부 주제로만 아주 짧게 적혀있다. 그래서 고조선에 대해 대중들이 아는 지식은 매우 적다. 그런데 이런 점을 유사역사학이 파고들어 고조선이 마치 고대의 대제국인양 왜곡하여 선동을 일삼고 있다. 학계의 주장을 잘 접하지 못하는 대중들은 거의 이런 주장들밖에 보지 못하여서 과장된 고조선의 모습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 이문영 작가가 이 책에서 고조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는 것은 한 줄기 빛 같다고 생각된다. 그는 이 책에서 고조선의 건국 연대, 고조선의 위치 등 고조선에 대해 쉽게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외에 환단고기 같은 위서의 허구성, 동이족이 한민족이 아니라는 것, 배달의 민족이 근대에 등장한 개념이라는 것 등을 이야기 해준다. 대중들에게 잘못 알려진 개념들을 바로 잡고자 하는 모습이 긍정적으로 보인다.


이 책의 장점은 쉽게 설명한다는 것이다. 어려운 한자어를 최대한 적게 쓰고 쉬운 말로 풀어서 쓰려는 모습이 눈에 보인다. 다만 너무 쉽게 쓰려고 노력하다보니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좋을 내용들을 빼버린 것이 중간중간 보인다. 하지만 대중들이 한국 고대사를 입문용으로 접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또한 이 책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야기들을 많이 보여준다. 염사치 이야기, 우로 장군의 이야기, 사금갑 이야기 등 대중들이 잘 모르는 이야기들을 소개하는 점은 이 책의 매력이다. 심지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전혀 안 나오는 제후와 백운의 이야기 같은 것들을 소개한 점은 저자가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담고자 했는지 열정을 알게 해준다.

 

그러나 이 책도 단점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오탈자가 많다는 것이다. 예시를 몇가지 들자면 49p에 상나라라고 적어야할 걸 주나라라고 적었고, 89p에 준왕을 위만으로 잘못 적었으며, 110p에 기원전 109, 108년이라고 적어야 할 것을 기원전 195, 194년으로 잘못 적었다. 그리고 313p에서 안장왕이 제222대 왕이라고 적거나 347p불같이 노한 숙흘종불같이 노한 서현으로 잘못 적었다. 또한 89p444p에서 박대재교수를 박대제교수로 잘못 적은 것도 있다. 이외에도 오탈자가 군데군데 보인다.


이것 말고도 의아한 부분들이 소수 있었다. 252p에 왜국이 신라 사람을 재상으로 삼았고, 우로의 부인이 그 재상을 죽인 이유가 우로가 어디 묻혔는지 알지 못해서 그것을 알아내기 위해서였다는 내용이 있다. 하지만 일본서기를 보면 문맥상 재상은 신라인이 아니라 왜국인이며, 우로의 부인이 재상을 죽인 이유는 복수하기 위해서이지 우로가 묻힌 곳을 알아내기 위해서가 아니다. 이외에 270~271p를 보면 신라와 왜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123, 249년 등의 삼국사기 연도를 그대로 적고 있는데 학계에서 삼국사기 초기기록의 연도가 신뢰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그 연도를 그대로 적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비록 이와 같은 문제점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단점보다는 장점이 큰 책이다. 어려운 한국 고대사를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게 잘 풀어 설명했다는 점, 잘못 알려진 이야기들을 바로 잡고자 했다는 점,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을 많이 넣어서 한국 고대사에 대한 이야기를 풍부하게 보여줬다는 점에서 이 책은 참 좋은 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고대사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