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사인
에이미 벤더 지음, 한아인 옮김 / 문예출판사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흡사 동화같은 표지와 이미지가 선뜻 떠올려지지 않는 제목으로 인해 어떤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는지 궁금한 마음에 책을 받자마자 펼쳐보았다. 어쩌면 영화화 되다는 것에 더 마음이 끌린 것일수 있었다. 얼마나 매력적인 소설일까 하는 기대감이 설레게 밀려들었다.

 

모나 그레이의 열 번째 생일 날, 아빠는 그녀가 잠들기 전 동화같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영원히 죽지 않는 왕국에 사는 사람들은 너무 많은 인구로 인해 고통을 받게 되고 결국 왕국을 떠나거나 가족중 한 사람을 희생해서 왕국을 유지해야 한다고 결정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한 가정은 서로 자기가 희생되겠다고 나서다가 각자의 신체부위를 내놓음으로 한 사람의 형체를 유지하겠다고 한다. 자신의 다리, 팔, 코,,, 결국 다른마을로 떠나가게 되지만 행복하게 사는 가족. 이 이야기를 들려준 아빠는 그녀가 열 살 되던 해 의욕상실이라는 병에 걸려 회색빛이 되어버린다.

 

그해 그녀는 이름처럼 그레이로 살기로 한다. 맑은 파란눈을 가졌음에도, 뛰어난 재능을 가졌음에도, 세상이 아름다운 색깔들로 치장해감에도 불구하고 그녀에겐 그저 그레이일 뿐이다. 훌륭한 피아노 연주를 끝으로 피아노 치기 그만두기, 계속 기록을 깨며 달리기에서 놀라운 성적을 보일때 그만두기, 후식끊기, 영화관 끊기,,, 그런 그녀가 그만둘 수 없는 두 가지는 숫자연결하기와 나무 두드리기이다. 남들이 모르는 비밀이라 여기며 이어가는 습관들.

 

수학을 너무 싫어한 나머지 수능때도 포기했던 학창시절. 수학을 포기하면 너무 많은 것을 잃게 되는 수험생 시절이었지만 내가 그것과 바꿀 정도로 싫어했던 과목의 선생님으로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모나. 그녀에게 숫자란 세상의 모든 것을 연결지을 수 있는 그녀의 일부였다.

 

3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모나의 생각을 대변하듯 20, 50, 42의 소주제로 펼쳐진다. 20살 생일을 맞는 모나, 마라톤 번호 50과 그녀의 아버지 나이 50, 행복을 가늠해볼 수 있는 숫자 42.

이 숫자들을 중심으로 그녀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살아간다. 회색빛인 아버지와 동행하는 삶을 살기위해 기쁨의 순간에 그것을 포기하고 마는 모나의 십대와 모나 블루, 모나 그린으로 그녀를 되돌리고픈 과학선생님, 존스 아저씨가 있는 20대.


 

그런 20대를 열어줄 20살 생일에 도끼를 사는 모나는 그것으로 자신의 몸을 찍는 상상을 해본다. 그러면 가족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마음으로. 열 살 이전에 들은 이야기가 그녀를 그토록 지배할 수 있을까. 아님 가족에 대한 사랑이 너무 진해서일까. 가보고 싶은 많은 장소들을 포기한 채 여행사를 하며 살아가는 그녀의 어머니. 왕국에 머무르기 위해 서로의 부분들을 내어준 가족.

 

자신이 원하는 것이 있어도 그럴 수 없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그녀가 참으로 안쓰러웠다. 이제 20살 . 푸르르게 빛나야할 10년을 잿빛속에 살았기에 이해하려 해도 과학선생님과의 스킨십이 좋으면서도 그럴 수 없다는 마음에 비누를 먹어 자신을 통제하는 그녀는 안쓰러움을 넘어 이해할 수 없을 지경이었다. 그녀의 일상을 지켜보는 것은 그녀의 무너질듯한 아찔한 공포와 신경쇠약적인 모습으로 인해 나까지 숨이 턱턱 막히고 괴로운 여정이었다.


 

그녀가 비밀이라고 생각하고 지켰던 습관들을 사람들이 알고 있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은 모나. 그리고 그녀의 거짓을 알아채고 그녀의 참모습을 발견하고픈 과학선생 벤자민 스미스. 그녀의 재능을 사랑했던 존스아저씨. 자신보다 더한 고통을 지닌 제자 리사를 통해 그녀는 비로소 자신이 살아야겠다고, 아빠보다는 살날이 더 많은 나이라고 깨닫는다. 그리고 51번째 아빠의 생일날 그녀의 동반자인 아빠를 마음속에서 놓아준다. 자신의 한부분을 없애고 그 모습을 서로 보면서 살아가는 대신 온전한 모습으로 독립해 사는 삶을 택한 모나. 그녀의 동화는 그렇게 마무리된다.

 


그녀는 자신의고통을, 아빠의 고통을,, 누군가 알아주길 원했다. 그녀는 남들이 알아채지 못하게 계속 사인을 보낸다. 비단 그녀만의 것이 아닌 사인은 우리에게도 존재한다. 남들에겐 비밀이야 하면서도 알아주기를 바라고 그들이 알아채지 못했을때 슬픔의 사인, 분노의 사인, 체념의 사인을 보낸다. 자신도 다른이들의 사인을 알아채지 못하면서.

도움의 사인도 알아볼 수 없는 마음을 지니게 되진 않았는지 모나를 보며 새삼 돌아보게 됐다.



 

이 책을 읽고 난 기분을 숫자로 표현하면 어느정도나 될까.

하루하루의 기분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지혜를 준 존스 아저씨. 숨막힐정도로 행복한 50의 날들이 가끔은 찾아와 줘도 좋다고 생각해보며 책을 안아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