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심리
귀스타브 르 봉 지음, 이재형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론서 같은 제목과 그에 걸맞은 묵직한 컬러의 표지흥미를 잃으려는 순간 저자의 생몰년도가 눈에 띄었어요. 1841-1931. 프랑스 혁명과는 대력 반세기나폴레옹의 사망과는 그보다 더 가까운 저자학자가 되기 전에는 의사였다는 저자그가 연구한 '군중심리'의 내용이 궁금했죠.

 

 

서술은 원론적으로 보이리만치 깔끔해요자신의 연구 결과를 명확한 구성과 자신 있는 문체로 마치 기존의 학설을 개론화해설한 것 같은 느낌까지 드니권말에 붙은 해설이 오히려 조잡하고 피상적으로 느껴질 정도입니다이는 지식을 얻고자 하는 독자에게 매력적인 요소일 것 같아요게다가 서체가 큰 것을 감안하면 많지 않은 내용이니반나절 집중하여 훌쩍 읽기에 좋을 정도의 분량이이라는 것도 장점이죠.

 

 

하지만 반드시 지적해야 할 부분도 있습니다. 19세기의 인물인 귀스타브 르 봉은 민족적남성적 우월주의를 너무나 당연한 배경으로 깔고 있습니다여성어린아이야만인을 들어 스스럼없이 열등하다고 묘사한 부분이나군중의 부정적인 면을 여성적이라고 표현한 부분민족성에 관한 어처구니없는 서술은 현대에도 적용할 만한 그의 다른 통찰들과 몹시도 대조됩니다.

 

 

물론 그 부분은 어쩔 수 없는 시대적인 한계라고 말할 수도 있을 거예요하지만 저자의 기저에 깔린 어떠한 편견관념들을 완전히 제할 수도 없는 일적어도 제 경우에서는 저자와의 정서적 거리가 멀어짐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긍정적으로 생각해도 당대인들의 사고를 반영한 것일 터이니 새삼 씁쓸했달 까프랑스는 유렵에서 여성 참정권을 가장 늦게 부여한 나라라는 게 생각나더군요.

 

 

어쨌든 이미지와 단어에 대한 부분선거와 대중의 반응에 대한 서술은 흥미로웠습니다책이 손에 있다면 인용을 하고 싶은 부분도 꽤 많았고.


읽을 가치가 있는가 묻는다면 별로 망설이지 않고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는 책귀스타브 르 봉의 군중이론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