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성장패턴에 올라타라
신병휘 지음 / 굿인포메이션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라진 패턴을 찾아 플랫폼 성장 패턴으로 변화하기

코로나19 이후 세상이 바뀌었다. 디지털 세상이 급격하게 변화했다. 모든 영역에는 플랫폼이 장악하고 있다. 일시적 플랫폼에서 일상적 플랫폼 세상으로 바뀌고 있는 요즘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달라진 패턴을 찾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 이 상황에서 할 일이다. 일단 플랫폼이 무엇인지 알고, 성장으로 변화하는 패턴을 찾아 하나씩 실천할 것. 그 실천의 방법 19가지가 이 책에 담겨있다.

플랫폼...?

코로나19 덕분에 화상회의, 새벽 배송, 재택근무, 온라인쇼핑, 배달음식 등으로 플랫폼의 편리함을 우리가 충분히 느꼈다. 자연스럽고 물과 전기 같은 존재로 플랫폼이 다가오면서 이제는 없으면 불편함을 느낄 정도다. 이 때문에 20년이 걸릴 일이 2년 만에 당겨졌다. 오프라인 매장은 사라지고, 플랫폼과 함께하는 디지털 생태계가 확장되었다. 이와 함께 네트워크까지 구성되고 그 효과도 방대해졌다.

성장 패턴_일하지 말고 일하게

코로나 이후 자주 만나게 된 플랫폼 중에 하나가 화상회의의 대표주자 줌(ZOOM)이다. 초창기에는 단순하게 화상회의만 하는 용도였는데, 최근에 줌 앱스를 선보여 줌 플랫폼에서 타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열었다. 줌에서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할 수 있게 한 것. 추가 성장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외부의 힘을 활용하게 된 것이다. 일하지 말고 일하도록 만든 이 패턴도 기억해야 할 것 중에 하나다.

성장 패턴_프리미엄 서비스로 유료화

기본기능은 무료로 진행하되 일부 고급 기능을 유료화하여 수익을 내는 프리미엄 모델이 확장되고 있다. 구글 미트 역시 2021년 7월 유료화했고, 구글 포토 역시 마찬가지다. 이는 무료로 접근하고 유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유료 결제를 위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프리미엄 서비스와 광고 상품을 활용하는 것. 무료와 프리미엄을 어떻게 연결하느냐가 관건이다. 단순히 무료로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 유료화로 고객이 유도될 수 있도록 구독형 서비스도 눈여겨봐야 할 것이다.

공급자와 소비자의 관계 속에서 탄생하는 플랫폼, 그 관계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단순히 공급자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닌 둘의 관계가 성장하는 것 속에서 발전하는 플랫폼의 성장 패턴. 그 패턴들을 잘 기억하고 있다가 플랫폼 세상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