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연구
윤내현 / 일지사 / 199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최고의 고조선 개론서이자 연구서라 하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도 남을 돌보지 마라 - 인문학의 눈으로 본 신자유주의의 맨 얼굴
엄기호 지음 / 낮은산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자유주의 비판서로는 최고인듯. 군더더기 없는 문장, 적당한 분량와 가격.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조선 지역의 고인돌 연구
하문식 지음 / 백산자료원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주와 한반도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고인돌은 고조선의 대표적인 유물이며 전국 어디서나 우리가 쉽게 접해 볼 수 있는 친근한 유물이기도 하다. 남한지역에서는  지금까지 많은 고인돌이 발굴되었고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기도 하였다. 
 고조선 지역(중국동북지역과 북한지역)의 고인돌이 특히 중요한 것은 우리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유물이 되기 때문이다.
 고인돌의 껴묻거리에서는 비파형동검이나 미송리형토기 같은 고조선의 유물도 출토되고 고인돌의 분포 및 문화는 고조선의 강역과 생활모습에 많은점을 시사해준다.
 그러나 우리학자들이 갈 수 없는 북한지역과 중국동북지역의 고인돌에 대한 연구는 지리적인 어려움 때문에 남한지역의 고인돌 연구처럼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런 가운데 이 책은 하문식교수가 고조선 지역(중국동북지역과 북한지역)의 고인돌을 집대성하여 고조선과의 연관성, 고조선 문화의 성격 규명 등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성과이다. 
 하문식교수는 고조선지역 고인돌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북한, 요령, 길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고인돌에 대한 조사와 연구성과를 가지고 이 지역의 고인돌이 지닌 고고학적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 책은 하문식교수의 박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전문서적이다. 이 책을 읽기에 앞서 저자의 최근 저서인 <고조선의 강역을 밝힌다>를 보고 고조선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어 이 책을 보았는데 사실 앞책에 비해 너무 전문적인 고고학 도서라 읽는데 쉽게 읽어지지가 않았다.  
하지만 생각해보니 바로 이런 연구야 말로 결국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고조선시대 사람들의 다양한 문화 요소에 접근해가는 방법이란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찬찬히 읽어갈수록 강역이나 대외관계 연구에 집중되었을뿐 아직 밝혀지지 않은 고조선 사회의 생활모습과 문화라는 미지의 세계에 한발 발을 내딛은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조선 우리의 미래가 보인다
윤내현 / 민음사 / 1995년 5월
평점 :
품절


고조선 입문서로는 최고의 책인것 같습니다. 강력추천할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의 고구려연구
이인철 지음 / 백산자료원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인 이인철 박사는 고대사 전공자로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현재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중진 연구자중의 한사람이다. 최근에는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동북공정의 논리에 맞서 많은 저서를 내놓고 있는데 이 책도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해 저술된 책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연구서가 아니라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일종의 자료집이다. 1장에서는 중국의 고구려연구 동향을 간략히 살피고 그 다음은 중국학자의 고구려관련 저서와 논문의 목록을 나열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대표적인 고구려연구자의 약력을 소개한다.

 이 책은 동북공정의 실체와 대응논리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일반인을 위한 책이라기 보다는 관련 연구자나 공부하는 학생이 중국의 고구려 연구 현황을 저자나 분야별로 상세히 살펴보고 싶을때 좋은 자료집일 것이다. 특히 논문의 목록이 연대순, 인명순, 분야별로 나뉘어져 있어 해당 논문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배려가 되었다.

 이 책에서는 하지만 몇가지 아쉬운 점이 눈에 띄는데 하나는 고구려논문을 발표한 중국의 학자들은 고구려 논문만이 아니라 고조선, 부여, 발해 논문도 함께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다른 시대의 논문까지 포괄하지 못하고 고구려 논문만을 모았다는 점이다. 또한 간체자로 되어 있는 논문목록을 번체자로 세심하게 바꿔주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마지막으로 첫부분의 <중국의 고구려연구 동향>에 대한 부분이 너무 짧은면이 있다.  

그러나 어쨌든 이 책은 중국의 고구려 연구 성과물을 망라하여 중국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집인 것은 분명하다.

[인상깊은 구절]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주장을 방치할 경우, 중국의 주장이 사실인 것처럼 되어, 오늘날 한국인은 후손들에게 조상과 조상들이 세운 국가와 자랑스러운 역사를 중국인에게 빼앗긴 부끄러운 조상으로 남게될 것이다. 그 뿐 아니라 중국의 역사왜곡이 북한지역을 중국영토화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라면 중국의 역사왜곡을 분쇄하지 않을 경우, 우리 민조은 한반도 중부 이남의 좁은 영토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우리 한국인 모두는 고구려 역사 문제가 결코 단순한 과거의 역사문제가 아니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달린 우리 민족 최대의 중대 사안임을 깨달을 필요가 있다.그 깨달음 위에 설때 비로소 우리가 고구려사를 왜 연구해야 하고, 중국의 역사왜곡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선명해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