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서의 괴로움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 정은문고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도정일 님의 '별들 사이에 길을 놓다'를 읽고 생각할 것이 많아 머리가 복잡했다.

좀 가벼운 책으로 기분전환을 하려고 잡은 '장서의 괴로움'은 한마디로

'나 책 많아. 부럽지?' (-.-;;)

 

천 권도 안되는 책을 '소장'하고 있는 나로서는 3만권, 4만권이 집 안에 있다는 것이 상상도 되지 않는다. 일단, 집이 얼마나 넓어야 가능하겠는가? 그리고 그 많은 돈이 어디서 나서?

저자는 주로 헌책을 사기에 새 책을 정가로 사는 것보다야 싸게 샀겠지만 그래도 3만권을 권 당 5천원으로 계산하면 1억 5천만원이 된다!!! 

 

가족의 핀잔과 눈치 속에 책을 들여오는 나로서는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고, 일본의 헌책방 문화와 여러 작가들, 그리고 읽어보고 싶은 많은 책이 소개되어 있어 흥미로웠다.

당장, 이 독후감을 쓰기 전에 책에 소개된 일본 진보초, 역자 후기에 나온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도 검색해보았다. 이 책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헌책방에 관한 책이 뭐가 있나 검색해볼 것이고, 이렇게 또 소장도서가 늘겠지. 책을 읽고 '장서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방도를 구하려다 '걸려들었다!'

 

<의미있게 읽은 부분>

 

지금 내게 무엇이 필요한지, 꼭 필요한 책인지 아닌지를 판가름해 원활한 신진대사를 꾀해야 한다. 그것이 나를 지혜롭게 만든다. 건전하고 현명한 장서술이 필요한 이유다.

 

 

이 마음, 누구보다 잘 안다. 여행이나 일 때문에 지방에 가서 호텔에 짐을 풀고 그날 밤 침대에서 읽을 책을 좁은 테이블 위에 몇 권 놓아두면, 책장이니 뭐니 아무것도 없는 방에서 그 책 몇 권이 아주 고맙게 느껴진다. -> 나도 유럽 여행 갈 적에 안그래도 꽉 차는 캐리어(그것도 무게가 제한되어 있는)에 책을 여러 권 쑤셔넣어 욕먹은 적이 있던 터라 아주 공감간 부분.

 

 

어떤 의미에서 서재는 책장을 갖는 순간부터 타락하기 시작하는지도 모른다. 책장이 있으면 책을 꽂아두고 싶다는 소유욕이 생기기 때문이다. -> 책장을 채우고 싶은 욕구는 본능이었던 것이다. 나만 이상한 게 아니야.

 

 

책이 느는데도 책장을 사지 않은 이유는 단순하다. 책장 살 돈이 있으면 책을 샀기 때문이다.

 

 

그는 책장을 살 수 없어 책을 귤 상자에 담아 쌓아두었다. 그걸 본 친구가 불이 났을 때 들고 옮기기 좋겠는데, 라고 말했다. 무슨 재수 없는 소리냐고 화를 내는 사람도 있겠지만 후쿠하라는 달랐다. ‘아, 저 사람도 나와 같은 병을 앓고 있구나.’ 친근함을 느꼈다. -> 절대 불에 타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 없는 목록을 뽑아서 따로 한 칸에 모아놔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빨리 들고 나갈 수 있게.

 

 

흔히들 벽에 책장을 붙여 세운다. 책장은 ‘벽 먹는’ 가구인 셈이다.

 

 

시노다 하지메가 말하는 ‘5백 권의 가치’는 이랬다.

책 5백 권이란 칠칠치 못하다거나 공부가 부족하다는 것과는 다르다. 어지간한 금욕과 단념이 없으면 실현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를 실행하려면 보통 정신력으로는 안 된다. 세상 사람들은 하루에 세 권쯤 책을 읽으면 독서가라고 말하는 듯하나, 실은 세 번, 네 번 반복해 읽을 수 있는 책을 한 권이라도 더 가진 사람이야말로 올바른 독서가다.

시노다는 덧붙여 “필요할 때마다 자유자재로 열어볼 수 있는 책이 책장에 5백, 6백 권 있으면 충분하고, 그 내역이 조금씩 바뀌어야 이른바 진정한 독서가”라고 썼다.

 

철제 책장 세 개에 지금은 손에 넣기 힘든 고서, 항상 베스트 100 안에 드는 애독서, 자료로 자주 펼쳐보는 책을 엄선해 꽂아두고 그 이상 책을 늘리지 않는다. 어떤 의미로는 이상적인 장서다.

 

진정한 독서가는 서너 번 다시 읽는 책을 한 권이라도 많이 가진 사람이다.

 

 

책을 좋아하던 나가야마 소년은 중학 시절 여름방학 때, 삼일밤낮을 독서에 빠져 있다가 눈이 떠지지 않았다. 그때는 ‘이대로 실명해 평생 책을 못 읽을지도 모른다’는 공포에 질렸다. 다행히 얼마 후 눈이 떠져 별일 없이 지나갔다. 그때 ‘쾌락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몸을 아껴가며 규칙적으로 생활해야 한다’는 진리를 터득했다.

 

 

책은 내용물만으로 구성되는 건 아니다. 종이질부터 판형, 제본, 장정 그리고 손에 들었을 때 느껴지는 촉감까지 제각각 다른 모양과 감각을 종합해 ‘책’이라 불리는 게 아닐까....책갑에서 책을 꺼내, 읽기 전에 먼저 만지고, 책장을 펼치는 동작에 ‘독서’의 자세가 있다. 그에 수반하는 소유의 고통이 싫지 않기에 ‘장서의 괴로움’은 ‘장서의 즐거움’이다. 제 생각이 고리타분한가요? 정말 그런가요? 전 이것이 결정적인 무엇이라고 생각하는데.

같은 맥락에서 ‘전자서적’은 전자 콘텐츠이지, ‘책’은 아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