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사소한 구원 - 70대 노교수와 30대 청춘이 주고받은 서른두 통의 편지
라종일.김현진 지음 / 알마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 시간 한국을 떠나 살다 보니 한국의 실정이나 인물들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이 가끔은 부끄러울 때가 있다. 이번 책을 앞에 두고 망설였다. 구원이라니....그런데, 가장 사소하대... 대체 뭘까?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이런 제목을 붙였을까? 궁금하기 짝이 없어 결국은 책장을 넘겼다. 


이 책은 한국 최고의 지성인중 한명이라는 라종일이라는 노교수와  30대 젊은 여작가 김현진이 나눈 32통의 편지를 다룬, 그러니까 서간문이다. 요즘같이 바쁜 세상에 이제는 이메일조차 격식을 차리는 시간이 아깝다며 짧게 문자, 그것도 줄임말이 가득한 문자를 주고 받는데, 이들은 대체 32통의 편지를 통해 무슨 얘기를 주고 받았을까?


75세의 노교수를 남자친구라고 서슴없이 부르는 당돌한 34세의 여작가와 그런 그녀가 보내는 글에 바로 답장을 해주는 노교수가 함께 찍힌 사진을 보니 둘은 마치 세상에서 둘도 없는 부녀처럼 다정해 보인다. 그리고, 그렇게 삶이 힘들다며 노교수에게 삶을 사는데 답을 얻고자 하는 그 여작가는 마치 재벌가의 상속녀같은 분위기라서 사진을 보면서 나는 묘한 배신감마저 느낄 정도였다. 

하지만, 책 자체만 보고 주제넘는 평가를 하자면....좋다!


스스로는 굴곡지고 힘든 삶을 살았다고 하는 김현진. 현재는 팟캐스트 진행자, 작가, 칼럼니스트등의 여러가지 활동을 하면서 본인의 삶을 즐기고 사는듯 보이는데, 고등학생 시절에 자퇴를 하고, 불행한 가정사, 아픈 이별, 사고로 떠나 보낸 친구, 실직등 여러가지 경험을 하면서 힘들었다고는 하지만 주위에 너무나 많은, 진정으로 불행한 이들을 보아온 나로서는 그녀의 삶이 그리 유별나게 남들보다 더 아프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

그런 그녀를 자신이 일하는 학교의 강연에 초청하면서 시작된 인연으로 둘은 편지를 통해 멘토와 멘티의 관계를 갖게 된다. 상위 1%에 든다는 라교수님은 6개국어를 하고, 정치인으로서의 삶도 살았었으며, 대학교의 총장으로 지낸 적도 있고, 이제는 대학교수로서의 삶을 살고 있다. 그래서인지, 둘이 나눈 이야기들은 때로는 차갑게 이성적이고 지적이며, 때로는 뜨겁게 이상적이로 열정적이다.  둘이 삶을 대하는 태도가 극과 극임에도 불구하고, 둘이 묘하게 잘 어울린다고 느껴지는 것은 아무래도 그들이 나누는 대화가 지적이며, 담담하면서도 솔직하고 담백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나에게도 이런 멘토가 있었으면, 하는 부러움과 함께 한번쯤 차분히 더 정독해보고 싶은 책으로 오랜동안 기억에 남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