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까지 따듯해지는 북유럽 스타일 손뜨개 소품 마음까지 따듯해지는 북유럽 스타일 시리즈
Applemints 지음, 김수정 옮김, 송영예 감수 / 참돌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아주 어린 시절에 어머니로부터 뜨개질 하는 법을 배웠다. 

솜씨가 좋은 어머니뿐만 아니라, 이모들의 솜씨를 보면서 내게 뜨개질은 겨울뿐 아니라 여름에도 볼 수 있는 집안 풍경중 하나였다. 코바늘로 가느다란 실을 패턴도 없이 만들어 피아노 덮개로 만들어 놓으신 것도 있었고, 겨울밤이면 의례 작은 수고비를 받고 어머니를 도와 작아져 입지 못하는 뜨개옷의 실을 풀어 김이 올라오는 커피포트를 통해 실을 곧게 만드는 것은 마치 마술처럼 재밌는 놀이이 알바(!)였다. 


이 책에는 23개의 소품이 목차에서부터 사진을 통해 보여진다. 

작품의 제목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진이 곁들여져 쉽게 만들어 보고 싶은 작품을 골라내기가 쉽다. 각 작품마다 사용된 실과 바늘, 작품의 사이즈와 무늬, 뜨는 방법과 게이지등 아주 자세히 그림과 사진으로 설명이 되어 있어서 따라 뜨기가 쉽다.  여러 종류의 가방, 모자, 목도리등이 있는데, 북유럽의 대표적인 세가지 스타일인 아란, 노르딕, 페어아일등 세가지 디자인이 주를 이룬다. 


얼마전에 아란 디자인의 넥 워머를 떠서 지인에게 선물을 했다. 받은 이가 너무 감사해해서 되려 주는 손이 민망할 정도였다. 나에게 뜨개질은 잡생각을 없애주는 취미일뿐 아니라 명상의 시간이기도 하다. 그저 실과 바늘을 이용해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기쁨뿐 아니라 차분히 마음을 가라앉히고 내 안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즐길 수 있어서 좋아하는 활동중 하나이다. 


딸아이는 라벤더 색으로 귀를 덮는 모자를 떠달라고 하고, 아들 아이는 꽈배기 모양이 예쁜 캡을 부탁한다. 남편 또한 비니를 하나 만들어 달라고 하고, 나는 운전중에 사용할 핸드 워머를 하나 만들어 착용해 볼 셈이다. 금새 자라는 아이들의 것은 아무래도 내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나중에 시작하기로 하고, 지금은 내 핸드 워머와 남편의 비니를 열심히 뜨고 있다. 


마치 봄이 찾아온듯 따뜻했던 날씨 대신 나빠진 기후로 주5일이 아닌 주 2일 반만 일을 했던 지난 주와 차갑디 차가운 이번 주말. 나는 오늘도 벽난로 앞에 앞아 열심히 뜨개질 삼매경에 빠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