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에 살다 - 조선 지식인 24인의 서재 이야기
박철상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는 사람치고 자신만의 서재를 꿈꾸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나 또한 예외는 아니어서 오랜 시간동안 책을 구입하고, 읽고, 보관했다. 하지만, 몇해 전에 뜻한 바가 있어서 집에 있던 대부분의 책을 도서관에 기증하거나 지인들에게 나눔을 한 후 한동안 읽는 족족 집에 책을 두지 않았었다. 그렇게 몇해가 흐르고 나니 어느샌가 책장뿐이 아니라 집안 구석 구석 쌓여 있는 것이 책이다. 그래서, 요즘 생각하는 것은 내가 다시 들춰볼 책을 보관하고 그렇지 않은 책들은 나눔을 이어가자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다른 이들의 서재가 궁금하지 않을 수가 없다. 다른 이들은 어떤 책을 소장하는지, 어떻게 정리하는지, 어떤 책들에 관심을 보이는지가 궁금한 것이다. 


서재에 살다는 조선의 지식인 24 인의 서재 이야기다. 평범한 지인들이나 친구도 아니고, 이 24인의 인물중에는 내가 존경하고 닮고 싶어하는 이들도 있다. 그들의 서재 이름만 봐도 가슴이 콩닥거린다. 박지원의 연암산방, 이덕무의 팔분당, 유득공의 사서로, 정약용의 여유당, 김정희의 보담재등...

요즘 아이들은 유아원에 다니던 시절에 한글을 뗀 후부터 지금까지 40년이 가까운 시간동안 내 손에서 책이 떨어진 적이 없다. 그런 나를 보고, 증조부님께서 붙여주신 아호가 서유였다.  책과 노닌다는 뜻이다. 그래서, 내 서재(라고 부르고, 책장이 모여져 있는 집안 한구석이라고 읽는다) 에는 서유방이라는 이름의 작은 푯말이 한켠에 걸려 있다.  그 후, 둘째 아이가 돌무렵에 지인으로부터 내가 선물받은 책의 이름이 책과 노니는 집이었다. 덕분에, 나는 이제 책과 노니는 방이 아니라, 책과 노니는 집을 꿈꾸고 있다.

이렇게 길게 서재의 이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이 책의 머릿말부터 나를 사로잡은 저자의 서재의 이름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다양한 이름과 뜻을 가진 서재들을 소유했던 조선의 지식인들은 그 이름에 걸맞는 책들과 마음가짐으로 자신의 서재에서 학자로서, 왕으로서,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았던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나는 이제 내 서재의 이름에 걸맞는 마음가짐과 책으로 앞으로 남은 내 중년 이후의 삶을 살아야 한다 싶다. 지금까지 그저 재미 위주로 책과 노니는 삶을 살았다면, 앞으로는 책이 주는 단순한 재미를 넘어서 지식을 쌓고, 마음을 넓힐 수 있는 그런 책들과 함께 노닐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