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트라다무스의 암호 1 샘터 외국소설선 12
톰 에겔란 지음, 손화수 옮김 / 샘터사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요즘 영어책 읽기 북클럽에서 읽는 책중에 하나가 스토리 텔링에 관한 것이다. 스토리 텔링을 여러가지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흥미로운 것중 하나가 인간은 타고나길 이야기 하고 듣는 것을 좋아하게 태어났다는 것이고, 점차 더 스토리 텔링에 길들여진다는 점인다. 그러고 보면, 어린 시절에 황당하기 그지없는 이야기들을 친구들로부터 전해 듣고 그것을 믿거나 시험해 봤던 기억이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날에 일정한 장속에서 거울을 보면 역사속 인물을 볼 수 있다던가....하는. 그래서인지, 철이 들고 처음 접한 유명한 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에 관한 이야기는 무섭다는 생각을 하게 하면서도 늘 궁금하고 관심가던 것이었다. 


내가 좋아하는 팩션작가중 한명인 댄 브라운이 흠모하고, 한때는 표절시비에도 휘말렸던 노르웨이 출신 작가의 신작이라는데 어찌 끌리지 않을 수가 있을까. 결국 꼭 읽어보자 마음 먹으면서 큰 기대를 갖고 펼친 책이었는데, 결과적으로 보면 그 기대에 부응하는 책이었다고 생각된다.  흡입력 있는 문장력을 가진 작가인데다가, 역사와 허구를 적절하게 버무려낸 이야기는 독자로 하여금 숨죽이고 책장 넘기기 바쁘도록 만든다.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에 대해서는 여전히 말들이 많다. 워낙 추상적으로 쓰여진 글들이기 때문에 어떻게 읽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이리 꿰맞춰도, 저리 꿰맞춰도 말이 되기 때문에 그리 신빙성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고, 방대한 양의 예언을 남긴 그의 예언력을 역사적 사실을 예로 들어가며 자신만 그리 믿는게 아니라 타인까지 설득하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책이 어떻게 결론날지는 모르겠지만, 노스트라다무스의 기록에 숨겨진 예언에 대해서 강의할거라던 모레티 교수와 그의 어린 아들이 납치되면서 모레티의 아내와 화자인 고고학 교수, 비와른 베토가 모레티 교수를 납치한 이들을 쫓는 과정을 읽다보면 이것이 마치 fact 와 fiction 이 절묘하게 버무려진 faction 이 아니라 마치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같아서 다 믿어야 할 것만 같은 느낌을 갖게 한다. 


내가 젊은 시절을 보냈던 이태리와 어린 시절 고고학자의 꿈을 갖게 했던 이집트, 세계 7대 불가사의 중의 하나라는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등에 대한 얘기가 나오며,  그 이야기들을 쫓다가 만나게 되는 여러가지 암호와 그 암호의 해독에 대해서 생각하다 보면 마치 시간이 멈추고, 싶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조차 힘들만큼 긴장하게 만드는 소설인데, 이런 긴장감이 은근히 즐겁다는 생각을 들게 하는 것을 보면 역시 스토리 텔링이 가진 힘을 무시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왜 댄 브라운이 이 작가를 좋아하게 된건지, 어쩌다가

표절 시비에 말려들었었는지 충분히 이해가 가게 할 만큼 유사성을 가진 이 작품을 기분좋게 읽어낸 지금 얼른 2권을 시작해 이야기의 결말을 알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뒤늦게 휴가 가는 이들도 있을텐데, 휴양지에서 정신없이 빠져들어 읽을만한 책을 찾고 있다면 이 책...추천하고 싶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