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의 특별한 유대인 - 희생자인가, 지배자인가?
박재선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대인.

내가 그들에 대해서 아는 것은 무엇일까?
현재의 내 거주지에 정착하기 전까지 내가 유대인에 대해서 아는 것은 세계 2차 대전 당시 독일인들로부터 어마어마한 압박을 받고 희생양이 되었다는 정도가 아니었을까? 하지만, 북미에 살기 시작하면서 나는 유대인을 매일 접한다. 젊은 날 유럽에서 유학을 할 당시에 나의 베프가 되었던 룸메이트도 유대인이었다.

그들은 왜 특별한가?
굳이 구약성서의 배경이 되는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아도 그들의 역사는 기구하고, 그런 기구한  역사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그들은 특별해질 수 밖에 없지 않았나라는 생각을 해본다.  유대인의 교육법이며, 그들의 이러저러한 양육방법까지 유행이 된지는 오래다. 하지만, 그들의 율법이나 종교적인 의식은 그리 호락호락하거나 가볍게 받아들일 만한 것들은 아니라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책을 처음 만나면 순간 당황하는 독자도 있지 않을까 싶다.
생각보다 두꺼운 두께와 마치 리포트나 논문을 읽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하는 책이다. 하지만, 지루하지는 않다. 꽤 흥미롭다.
100명의 특별한 유대인...그 중에는 내가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노스트라다무스, 마르크스, 노암 촘스키, 스피노자와 스티븐 스필버그, 해리슨 포드, 데이빗 카퍼필드를 포함하여 우리가 그 이름을 잘 알지만, 유대인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이름들이 포함되어 있고, 유명한 여성 유대인의 이름도 몇 보인다. 

세상의 1%인 그들은 과연 어떻게 그 자리에 있을 수 있는 것일까?
종교와 율법, 탈무드와 육아법이 아니더라도 그들이 세계 여러 분야에서 높은 지위와 영향력을 가지고 세상사를 쥐락펴락할 수 있게된 힘...자신의 민족에 대한 자긍심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것이 무엇이든...우리는 개개인이, 그것을 본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봐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