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 전 일이다. 남편이 뭐라 한마디 한다.

몸이 피곤하다는 핑계로 늘 가족이 함께 하는 주말의 영화보기 시간에서 혼자만 빠져 서재에서 책을 읽었다는게 그 이유였다.

그리고, 날아온 한 마디는 그야말로 충격!

당신은 책을 왜 읽어? 그렇게 많이 읽는데 변하는 모습은 없네~


그 랬구나~ 늘 책을 병적으로 가까이 가까이 하는데다, 마음을 울리는 글귀를 만나면 그 글귀도 남겨두고 다른 사람들과도 나누고... 그래서, 나는 책으로부터 많은 것들을 얻으며, 그런 것들이 당연히 내 모습을 통해 보여질거라고 믿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었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내 독서법이 잘못된 것일까?

나는 그저 수박 겉핥기식의 책읽기가 아닌, 글자 읽기만을 하고 있었던 걸까?

끝임없는 질문 속에서 때마침 접한 이 책은 마치 누군가에게 따끔하게 종아리를 회초리질 당한듯 머릿속을 얼얼하게 했다.

그리고, 선현 9인이 전하는 그들의 독서법은 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아! 라는 감탄사를 연발하게 하고, 내 고개는 더욱 떨구게 했다.


허균- 책을 읽는 까닭

이익- 의문과 메모의 독서법

양응수- 옛 성현의 독서 아포리즘

안정복- 바탕을 다지는 자득의 독서

홍대용- 독서의 바른 태도와 방법

박지원- 독서는 깨달음이다

이덕무- 생활의 습관, 독서의 발견

홍석주- 안목과 통찰

홍길주- 사색과 깨달음의 독서


이렇게 크게 인물별로 나뉜 9장에서 그들이 우리에게 전하는 독서법은 왜 책 제목이 '오직 독서뿐'인지 강렬하게 다가온다.

일회성 소비 시대인 요즘, 책 또한 그런 분위기에 휩쓸려 한두번 읽고나면 뇌리에서 지워지고 기억 저너머로 사라지는 텍스트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상태가 되버린지 오래지 않나 싶다.
하루에 전세계에서 사백여권이 넘는 책이 출간되어 나온다고 하고, 대부분의 세계인구는 그 많은 책을 다 접하는게 불가능하다.
게 다가 자신이 좋아하는 장르라도 따로 있어서 책편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그야말로 밥공기에 가득 담긴 밥 위에 젓가락만 대었다가 떼버리고 마는 경우가 되어버린다. 그렇지만, 선현들이 살았던 시대는 어땠나? 많지 않은 책들, 그러나 양서인 그 책들을 읽고 또 읽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며 곱씹어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혀끝과 몸에 배개하는 것이 그들의 독서법이었다. 그런 독서법을 통해 그들이 얻은 것은 독서는 생활의 일부이며, 사유의 출발점이고, 자신을 갈고 닦는 도구였으며, 무엇보다 즐거움이 아니었나 싶다.
요 즘은 실용서가 판치고, 자기계발서가 앞을 다투어 출간되며, 이런 상태가 되기 위해서 이렇게 하라고 말하는 누군가의 조언서가 끝이 없다. 하지만, 선현들이 읽은 책은 어땠을까? 좋은 시 한줄로 그들은 밤새워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가능했다. 그런 사유와 토론을 가능케 했던 것은 무엇인지, 풍요함속에서 우리가 굶주린듯한 빈곤함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 책.


책을 좋아하는 이라면... 책읽기가 삶의 큰 활력소인 이라면, 이 책을 통해 한 번 자신의 독서법을 재검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