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길 위의 아이들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26
브록 콜 지음,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길위에 몰린 위기의 아이들]

고트의 섬에서 고립되었다가 탈출한 두 소년과 소녀가 있다. 어쩌면 우리네 학창시절에 흔히 보았을 괴롭힘을 당하거나 유약해보이는 아이들과 꽤 닮은 로라와 하위. 그들의 낯선 세계로의 모험은 생각보다 경이롭거나 대단하지 않지만 청소년의 나이에 그 정도 수준이라면 어떤 영화의 주인공을 해도 어울렸을 그런 기지와 능력을 두 아이들은 발휘한다. 하지만 개개인이 따로 떨어졌다면 그것이 가능했을까? 싶을 정도로 소년과 소녀는 마지막까지 손을 꼭 잡는다. 서로에게 떨어지면 안될 그런 반쪽같은 존재들같이. 서로의 부족한 점을 채워주는 평생의 반려자같이.....어쩌면 외롭거나 왕따나 폭력으로 괴로운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사랑일지도 모른다는 메시지를 읽었던 것같다.

 

[방관자들. 그리고 탈출의 연속]

캠프의 선생님들은 그들이 사라진 걸 알고 찾지만 방관하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소년과 소녀가 섬을 탈출한 후 그들이 사라진 걸 알게 된 상담사 마르고와 맥스의 대화에선 소년과 소녀에 대한 지식이 너무 짧다는 걸 느꼈고. 일에 치여 딸의 전화를 아무렇지 않게 받았던 로라의 엄마(물론 그녀는 나중에 후회하지만), 등등의 어른들의 모습들이 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을 양육하거나 아이들을 가르치는 부모나 선생님의 안일한 태도와 많이 닮은듯해 분노감이 들면서도 안타까웠다. 그 사이에 소년과 소녀는 기지를 발휘해 탈출에 탈출을 성공하고, 새로운 캠프의 아이들을 만나며 위기를 넘긴다. 게임처럼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는 그들의 성장을 보며 나는 그저 지켜보기만하는 방관자적 어른이 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소년과 소녀의 복잡다단해보이는 감정의 거미줄]

소년과 소녀는 새로운 캠프 아이들이 둘 사이를 갈라놓을 때를 빼곤 언제나 함께이다. 어느새 사랑 비슷한 감정도 문장 곳곳에 보이지만 결말로 치닫을수록 사랑 너머의 동지같은

느낌은 아픈 사람이 함께하며 치유하는 것의 중요성을 작가가 은연중에 보여준 것 같다. 물론 책 한권을 완벽히 이해하기엔 내가 모르는 어떤 작가의 메시지가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비교적 쉬운 문체와 챕터마다 제목이 붙어있어(배경이 들어간 제목), 읽기엔 어려움이 전혀 없었지만 그래도 읽으면 읽을수록 그들이 성장하는 것처럼 나도 뭔가 성장할거란 기대가 든다.

 

[총평]

그들의 모험은 반지의 제왕이나 여타의 헐리웃 모험스토리처럼 대단하진 않다. 흔히들 겪는 청소년들의 삶이 외국작품이라고 특별히 다르다. 이런 건 아니다. 오히려 약자에 속하는 소년과 소녀가 이 여정을 통해 오히려 기지를 발휘하고 이겨내는 과정을 보는 즐거움은 남들이 하라는데로 기계처럼 해야 안심하는 요즘의 청소년들이 배우고 익혀야하는 성장의 과정이 아닌가 곰곰이 생각해보게된다. 교실이라는 사각형의 콘크리트 같은 곳에 갇혀 이론으로 익히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보는 그 과정을 통해 사랑,용기, 희망, 모험을 키울 수 있는 청소년들에게 진정 필요한 성장의 과정이라는 걸 깨달았고, 책 자체도 그런 부분을 복잡하게 얽히고 섥히게 만들지 않고, 오히려 간결한 문체로 깔끔하게 끝낸 부분은 마음에 든다. 물론 더한 극적인 부분이 있었으면 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었으나 작가가 애써 과장하지않고 자제하는 부분이 있었다고 사료된다. 아무튼 이 책은 청소년이든 청소년기를 거쳐왔으나 그때를 아쉬워하는 어른이든 모두 읽고 느껴볼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