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리타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5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교훈적인 소설은 읽지도 않고 쓰지도 않는다. <롤리타> 속에는 어떠한 도덕적 교훈도 없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러시아의 대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 읽는 중입니다. 그 중에서도 1부. 롤리타 소설은 여태껏 존재 여부만을 알고 있었지만 제대로 읽게 되는 것은 처음이네요. 비록 1부만 읽고, 작가나 몇몇 평론가들(아마도 비전공자들)이 써내려간 기록만을 접했지만 이 소설을 편력을 벌써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역겨운 범죄를 동화스레 써내린 기록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네요. 작가도 동일하게 이야기했고, 주인공인 험버트의 불일치하는 언행으로도 알겠습니다. 이렇게 판단한 이유 기억에 남는 몇몇을 뽑아서 이야기하자면

  1. 주인공은 스스로를 습관적으로 "가엾은 험버트"라고 명명합니다. 가엾지도 않은 강간범한테 부르는 이름은 그것마저도 과분합니다. 이것은 소설 중 가끔 등장하는 배심원단에게 어필하는 것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습니다.

2. 돌로레스에게 행하는 모든 성적 행위를 "순결을 빼앗지 않는 것"이라 하며 정당화합니다.(ex. 저는 완벽한 마취 상태에 빠진 어린 알몸만 즐기려 했습니다..) 지금 문제는 순결이 아닙니다. 학대의 기록을 사랑의 기록처럼 포장하는 것이 일상처럼 되었습니다.

로마, 기원전, 고대 동양인 같은 억지 사례를 갖다 붙이는 게 망상하며 강간하는 그의 일이나 마찬가지입니다.

3. "님펫" / 님펫은 작 중 주인공인 험버트가 만들어낸 새로운 어휘입니다. 님펫은 님프(Nymph)에서 유래된, 험버트가 만들어낸 단어이며, 님프를 연상시켜 동화적 느낌을 내도록 유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것은 페도필리아적인 그 욕망을 동화적 느낌으로 가리려고 한 것에 불과합니다.

1부까지를 보고 주인공에 대해서 가볍게 중간 평가를 내리자면 험버트 험버트는

지성을 가진 악마이며,

사랑과 성욕을 구분하지 못하는 변태이며,

뛰어난 미적 감각을 윤리적으로 전혀 납득되지 못하는 곳에 사용하는 모순덩어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