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미술 365
김영숙 지음 / 비에이블 / 2020년 9월
평점 :
품절


나는 역사 책 한권보다 그 시기를 대표하는 그림 몇 점을 감상하는게 더 기억에 도움이 되는 편이다. 그림은 감상할 때 느꼈던 감정과 함께 마음에 각인되니까.

영화나 콘서트에 비해 그림 감상은 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한 것 같다. 그림 한 점을 놓고 어느만큼 느끼고 어떤 감흥을 받았는지는 결국 미술의 교양 수준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림을 마주하면서 매번 미술 교양도 쌓아야지 생각만 했는데 요즘에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미술 365]라는 도서를 읽으면서 집 구석에서 적게나마 공부를 하게 됐다.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미술 365]는  매일 1페이지씩, 365점의 명화와 함께 미술의 모든 지식을 단 한권으로 만날 수 있는 책이다. 월요일에는 반드시 알아야 할 교양 필수 명화를, 화요일에는 원시미술부터 근대미술까지 미술의 결정적 명장면, 수요일에는 미술사에 한 획을 그었거나 인상적인 삶을 산 예술가...이렇게 요일별 작품,미술사,화가,장르,기법, 세계사,스캔들,신화,종교 총 일곱 분야의 지식을 다루고 있어 매일 한 페이지씩 읽다보면 내 안의 인문학 세계가 확장될 것 같다.

일단 나는 그림이 너무 궁금하고, 하루 몇페이지를 읽어도 될만큼 한가하고, 서평까지 써야 하는 이유로 며칠 안에 뚝딱 다 읽어버렸다. (365일 매일 뭔가를 꾸준히 하는 성격도 아니므로...대신 이 책은 머리가 복잡해지는 책들을 읽다가 한번씩 꺼내 손 가는대로 펼쳐진 페이지의 그림을 감상하고 해설문을 읽는 용도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제 그림을 보자.

 

 

 

<모나리자>와 <절규>다.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작품인데 책의 소개글을 읽으며 이해를 더할수 있었다.

왼쪽의 <모나리자>는 첫 눈에 봤을 때 다빈치의 <모나리자>와 뭔가 다르다는 낌새를 챘는가? 이 <모나리자>는 스페인 프라도 미술관에 전시된 <모나리자>인데 다빈치의 것(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에 비해 더 젊고 가느다란 눈썹이 있고 배경까지 마무리된 상태라고 한다.

연구가들이 적외선과 엑스선 촬영을 이용해 이 두 작품의 관계를 조사하고 추측하기를, 스승인 다빈치가 그리면 제자가 따라그리고, 스승이 수정하면 다시 따라 수정하는 형식으로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이 그림은 다빈치가 아닌, 그의 꽃미남 제자인 살라이나 프란체스코 멜치 돌 중 한 제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뭉크의 <절규>는 워낙 패러디가 많아 그림 자체는 익숙하지만 그뿐이었다. 책에서 소개한 내용을 읽고 나니 이 그림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진다.

19세기가 끝나갈 무렵,화가들의 관심은 서서히 내 '눈'에 비친 객관적 세계를 충실히 그리는 일에서 내 '마음'이 읽는 세계를 담아내는 쪽으로 옮겨갔는데 즉, 화가 자신의 주관적인 정서 상태, 감정 등이 닿는 세상을 그렸다고 한다.

작품 <절규>도 이런 맥락에서 5세 나이에 엄마를 잃고 차례로 누나와 여동생을 여의며 우울증, 공황장애,불면증 등에 시달렸던 뭉크가 그의 내면의 고독과 광기를 그대로 담아낸 <절규>일 수도 있다고 한다. 뭉크 자신은 이 그림의 창작에 대해,산책을 하다가 해질 녘 하늘에서 '피 같은 구름'을 목격하고 이어 '자연을 뚫고 나오는 절규'를 들었기에 그대로 그림에 옮겼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그의 주장대로라면 '자연의 절규'를 그대로 표현한 그림이기도 하다.

이렇듯 그림 하나하나는 사람처럼 인상착의로만 판단이 어렵고 비하인드 스토리를 곁들여 알아야 그 매력과 진가를 제대로 알 수가 있다. 그림들을 보고 있으면 그때 당시 시대상이나 사람들이 추구했던 가치관,심미관이 다 드러날 뿐더러 굵직한 역사 사건, 신봉했던 신화들도 더 깊이 알 수 있어서 꽤 흥미롭다. 그림을 그림으로만 보지 말라는 말의 뜻을 이제야 알 것 같다.

오늘에만 갇혀 살면 시야가 좁아지고 생존에만 목숨 거는 사람이 된다. 지나간 역사도 주목하고 미래도 예측해보다 보면  시대의 건널목에 서있는 나와 내가 사는 지금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고 그것은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데 필요한 자양분이 된다. 그러니 답답할 때,머리가 복잡할 때는 명화를 들여다보자. 나훈아 가수님이 테스형을 찾았던 것처럼  명화를 보며 실존적이고 철학적인 답을 찾을 수 있는 과거 속 누군가와 마주하자.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