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의 마지막 저녁 식사 - 살아가는 동안 놓쳐서는 안 되는 것들
루프레히트 슈미트.되르테 쉬퍼 지음, 유영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정말 잘 살아야 기껏 100년을 살아갈 뿐이다. 그 기간이 꿈을 쫒아 살아가면서 건강하게 살아간다면 더 없는 행복이겠지만, 어느날 갑자기 병이 깊어져서 병원에서도 "이젠 더 이상 해드릴 것이 없습니다"라는 말과 함께 퇴원을 권하거나 호스피스 병동을 권한다면...
그런 사람들이 어쩔수 없이 혹은 자의에 의해 호스피스 병동을 선택을 하고 마지막 죽음을 준비하는 곳중에 하나인 "리이히트포이어-등대불빛"의 한 요리사의 추억을 담은 요리를 병원 입원환자들에게 매일 매일 선물하듯 해주는 정성어린 음식에 관한 이야기이다.
루프레히트-참으로 어려운이름이다- 는 전도유망하며 정말 멋진 커리어를 쌓아가던 중 뭔가 의미있는 일이 하고 싶어 등대불빛 호스피스 병동의 주방장으로 취직을 했다.
꿈에 부풀어 자신의 요리를 선보이고 싶었던 그의 요리는 병원사람들에게 맞지 않아 번번히 거절을 당했고 그는 좌절감도 맛보아야 했으리라. 정작 사람들이 원한 음식은 "아주 소박하고 행복한 추억"이 깃든 가정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는 새로운 손님-환자-이 오면 충분한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을 소개하고 환자에게 먹고 싶은 음식을 물어본다. 그럼 대부분 번거롭다며 거절하다가도 조심스럽게 먹고 싶은 음식을 말을 한다. 그들은 이미 위나 간 온 몸에 암이 퍼진 사람들이라 냄새만 맡는걸로도, 혹은 한수저 정도만 먹는걸로도 충분히 행복감을 느끼고 살아있다는것에 감사하며 보낼 수 있는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그들이 한숟가락이 먹고 싶어요 반컵만 주세요 하나만 주세요 하는것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요구 사항보다 많이 줘서 남기게 되면 그들은 절망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들이 원한 음식을 한조각 베어물거나 조금 마신 사람들은 음식에 깃든 행복한 추억을 떠올리며 얼굴에 생기가 돈다.
 
끝까지 살아보겠다고 발버둥을 치는듯한 모습으로 -누구나 다 그럴것이다 나또한 그럴것이다- 자족과 주변인들의 삶까지 경제적, 정신적으로 힘들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실제 내 주변의 한 분은 암으로 오랜시간 투병하셨고 병원에서 그만되었다 했을때도 끝까지 매달리며 전제산을 탕진해버리셨고, 가족을 경제적 위기에 몰아넣으셨었다- 자신을 죽음을 차분하게 받아들이고 주변을 정리하며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다.
 
텔레비젼에서 그런 분들이 나올때마다 신랑은 참으로 매정하지만 현실적인 말을 해준다
"산 사람은 살아야지... 이미 끝났다는 통보를 받았는데 죽음을 받아들이고 준비하는건 힘들지만 남은 시간을 의미있게 보내야 하지 않을까? 자신의 병을 이겨보겠다고 돈을 다 써버리고 빚을 져버리면.. 산 사람들은 빚만 떠안게 되고 죽은 사람에 대한 좋은 추억보단 원망만 남게 되는데.. 그건 좋지 않다고 생각해... 내가 너무 냉정한가...?"라고 말한다.
사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정말 산사람을 살아가야 하는게 맞는 말이긴 하다.
그렇기에 이미 죽어가는 사람들은 더욱더 부담감이 느껴지고 자신의 죽음을 부정하고 싶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곳 호스피스에 온 사람들은 자신에게 먹고 싶은 음식을 물어보는 주방장을 처음엔 이해하지 못한다.
난 아파서 아무것도 못 먹는데 왜? 물어보는거야? 라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놀리나 싶기도 하고, 절망감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결국엔 조심스럽게 먹고 싶은 음식을 말을 하고 그 음식을 접했을때의 행복감에 호스피스 병동의 생활이 결코 우울하고 외로운 것이 아니란걸 알게 된다.
음식의 힘이 이토록 크고 중요하단 걸 책을 통해 또 한번 느꼈다. 다 죽어가는 이미 병원에서도 포기했고, 가족들의 안됐다는 동정의 눈빛도 부담스럽고 짜증이 나는 환자들에게는 주방장의 정성어린 음식이 그 어떤것들보다 위로가 되고 힘이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주방장은 그들에게 음식을 통해 삶에 대한 미련이나 희망을 주는것이 아니라 그들의 고단하고 힘든 현재 삶을 기억하기 보다는 음식을 통해 행복했던 한때를 선물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누구나 언젠간 죽게 된다. 마지막에 먹고 싶은 음식을 염두해두고 살아가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음식 하나하나에 추억이 깃들어 있는것은 사실이다.
처음 캠핑가서 홀땍 태워버린 밥, 텐트를 잘못치고, 어설프게 끓인 국들, 완전히 퍼져버린 라면등등...
음식은 그때의 추억을 함께 떠올리며 기억하게 하고 미소짓게 하는 것이다.
 
난 신랑에게 내일 당장 죽는다면 마지막 식사로 무엇이 먹고 싶냐고 물어봤다.
신랑은 1초의 망설임도 없아"엄마가 해주는 밥. 엄마가 없다면 자기가 해주는 밥"이라고 말했다.
참으로 짠하면서도 소박한 내 신랑.. 역시 밥돌이라는 생각도 했다. 엄마가 해주는 밥이라니.. 별것도 없는 엄마가 해주는 밥.. 아마 책속의 많은 이별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그런 마음일꺼란 생각이 들었다.
특별하지 않아도 멋있고 우아하지 않아도 그저 나 하나를 위해 준비해주는 음식.. 그런 음식이 먹고 싶은 것일지도 모른다.
마지막으로 먹고 싶은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건 정말 행복이고 행운인거 같다.
그런 모든것들을 정성스럽게 준비하는 주방장. 처음에는 주말이 끼어서 월요일이 되어버리면 음식을 만들기도 전에 그 환자는 이미 천국으로 가고 없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주방장은 환자들이 먹고 싶다고 하는 음식은 절대 하루를 넘기지 않으려고 애를 쓴다. 먹지 못하고 떠나 버릴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들은 결코 기다려 주지 않기 때문이다.
 
나에게 신랑이 묻는다
"자기는 뭐가 먹고 싶어?"
"나....?"
이런.... 난 어쩌면 정말 죽음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고 살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신랑의 저 질문에 적잖이 당황했으니깐..
호스피스 병동의 환자들도 처음 주방장의 질문에 나처럼 당황하고 놀랬을 것이다.
그리고 시간을 갖고 천천히 먹고 싶은 것을 생각했을 것이다.
나도 하루가 지나서야 생각이 났다.
가끔 한번씩 생각나는 라면..
아주 어릴때 엄마가 양은 냄비에 후다닥 끓여주던 라면이 생각났다. 아무리 해도 나는 그 맛이 나지 않던 라면..
지금은 연로하신 엄마라 그때의 맛이 나지 않지만.. 늘 추억속에 기억되는 먹고 싶은 라면이다.
그 라면을 생각하면 어릴적 그 시절 나의 하루하루가 떠오르고 주변 풍경이 떠오르고 추억들이 새록새록 기억에 떠오른다.
책 속의 많은 사람들도 그런 행복함과 그리움으로 남은 생을 정리하며 주변과 이별을 준비하는 것일 것이다...
 
 
마지막 식사..
당신은 어떤 음식이 먹고 싶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