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 임금님과 고양이 단비어린이 그림책 20
노경실 글, 최정인 그림 / 단비어린이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숙종임금님과 고양이

노경심 글 / 최정인 그림

 

지금은 고양이나 강아지를 많이들 키운다.

옛날에도 그랬을까?? 가끔씩 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운것을 볼수 있는

책이 있다. 그런데 임금님이 고양이를 키웠다는것을 난 이 책으로

처음 알게 되었다. 그것도 숙종 임금님께서....

 

햇살이 눈부시게 밝은 날.

"오늘은 아바마마를 뵈러 가야겠구나."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 임금님은 신하들과 함께 경기도에 있는 숭릉으로

향하셨어. 돌아가신 아버지(현종 임금님)가 보고 싶으셨거든.

 

이 책은 친구나 아이들한테 이야기하는 듯한 형식으로 쓰여져 간다.

첫 내용에서 보면 고양이를 만나는 계기가 쓰여진다.

아버지 능을 돌아보고 가려던 중 만난 고양이~그런 고양이를 신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데리고 가는 숙종 임금님 아버지 벗 노릇을 했을

거 같다는 생각에 데리고 간다.

그렇게 해서 지낸 고양이에게 이름을 지어준다

금손!! 금 금, 자손 손. 금빛의 자손 금빛 고양이라는 뜻의 이름으로

그날 부터 금손이는 속종 임금님의 친구이자 손자처럼 아끼신다.

늘 항상 금손아~금손아~

말 못하는 동물일지라도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는 것만 같아서 숙종

임금님은 금손이를 아낀거 같다. 왠지 숙종 임금님은 무척 외로웠을거

같다. 임금이라는 자리에서 말이다.

그래서 어쩜 금손이를 더 아꼈는지도 모른다.

 

임금님과 고양이는 이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아버지와 아들처럼 지냈어.

외국에서 선물로 보내온 목이 긴 기린, 눈부신 빛깔의 공작,

재롱을 피우는 원숭이가 있어도 임금님은 고양이만 찾으셨지.

임금님은 밥을 먹을 때에도 금손이를 옆에 두셨어.

낮에는 햇빛 밝은 곳에 앉아 금손이의 털을 고르셨지.

밤이면 임금님 옆에 누운 것은 금손이었어.

 

어쩌면 금손이는 임금님을 사랑했을거 같다라는 생각이 든다.

금손이도 임금님도 서로 외로웠기에 의지하면서 말이다.

그런 금손이를 사람들은 질투를 하기 시작한다.

그러다 금손이가 다른 도둑 고양이로 인해 누명을 쓴다.

질투심에 사로 잡힌 사람들로 인해 금손이는 절로 쫓겨나게 된다.

어쩔수 없이 보내는 임금님의 맘은 오죽할까 금손이도 억울하지만

가야하는 맘은 또 어떠랴.

서로를 그리워 하면서 지내던 중에 숙종임금님이 돌아가시게 된다.

이 소식을 금손이도 듣고 힘없이 울기만 했다.

그 날부터 금손이는 먹지도 자지도 않아서 죽을 지경까지 됐다는

소식을 듣고 대비마마가 금손이를 궁으로 불러들인다.

절에서 돌아온 금손이를 모두들 감동한 마음으로 반갑게 맞아주지만

금손이는 여전히 임금님 영전을 모신 방 앞에서 울기만 했다.

 

금손이는 누물을 흘리며 울기만 했어.

아무것도 먹지 않았어. 물도 마시지 않았지.

대비마마까지 금손이를 달랬지만 소용없었어.

그렇게 금손이는 임금님 영정을 모시는 방앞엣 울기만 하다가 끝내는

결국 눈을 감았다.

금손이에게 질투를 느낀 사람들 조차 금손이의 마음에 감동을 받아

눈물을 흘리게 된다.

그런 금손이기에 대비마마는 장례식을 치뤄준다.

저승에서라도 임금님과 마음껏 놀수있게 말이다.

숙종 임금님과 금손이는 아마도 하늘에서 맘껏 행복하게 보낼거 같다.

금손이와 숙종 임금님...

왠지 안 어울럴것만 같은 둘이서 서로 의지해서 외로운 마음이 없이

지낼수 있었던거 같다.

 

숙종 임금님이 따뜻하고 현명하신 임금님이시란걸 진작 알았지만

이렇게 따스한 마음을 가지셨다는걸 새삼 다시 느끼게 되었다.

울 집 큰딸이 이 책을 먼저 읽더니 고양이도 자기가 알고 있던것 보다

한 주인을 섬기는 것이 가능하고 숙종 임금님과 고양이의 사이가

너무 좋은거 같다면서 두번 세번을 읽었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담은것은 지금 현시대에 살면서

따뜻한 마음을 가졌으면 한다는 것이다.

메마르고 각박한 세상에 한 줄길 빛과 같은 그림책이 있다는 것이

정말 좋은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