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네 브라운은 세상이 만들어낸 ‘기대치‘와 ‘현실‘ 사이의괴리를 깨달아야 한다고 말한다. 내가 처해 있는 상황에서 한발물러나 큰 그림을 봐야 한다고, 나의 수치심을 촉발하고 부채질하는 사회와 공동체의 기대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줄 알아야 한다고. 그리고 제안한다. 이런 질문을 던져보라고,
외모에 대한 사회와 공동체의 기대는 무엇인가?
왜 이런 기대가 존재하는가?
L• 이런 기대가 어떻게 작용하는가?
• 우리 사회는 이런 기대들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는가?
• 이런 기대들로 수혜를 입는 이들은 누구인가?
p28

그게 맞아? 그게 진짜 너야?‘ 의심 없이 믿어왔던 생각에 물으표가 날아왔다. 한 권의 책이 나에게 물었다. ‘네가 생각하는네 모습이 진짜 맞아? 네가 하고 있는 평가가 제대로 된 거 맞아? 남들과 다른 네 모습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거야? 네가 다른사람들과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다른지 분명히 알고 있니? 나를 제대로 알지도 못한 채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평가에 휩쓸려버린 건 아니야? 끝없이 쏟아지는 판단 속에서 제멋대로 일그러진 생각을 진짜라고 착각하는 건 아니야?‘ 지구 반대편에 사는, 불어를 쓰는, 금발머리의,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이 세상에살고 있는지도 몰랐던 여자가 나에게 말했다.
p45

‘엄마‘라는 단어의 폭력성을 깨달았다. 엄마라는 단어가 지닌 보편성은 얼마나 무서운가.
엄마라는 말이 가진 이미지는 너무도 강렬해서, 내가 엄마가 되는 순간 ‘나‘라는 인간이 갖고 있던 개별성은 흔적 없이 사라진다. 나는 엄마이기 이전에 ‘나‘라는 한 사람인데, 엄마가 되는 순간 ‘나’라는 존재의 특징은 모두 버린 채 ‘좋은 엄마’라는 틀에 맞는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라니 그게 가능할까.
p50

니체는 ‘선과 악을 노예의 도덕이라 말한다. 절대적이고 유일한 진리를 따라 사는 사람은 노예, 거기에서 벗어나 자기만의기준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주인, 진정한 삶의 주인은 다른 누구의 판단이나 평가가 아니라 스스로 내린 평가에 따라 사는 사람이고, 나에게 좋은 것은 선택하고 나쁜 것은 거부하는 사람이며,
자신의 존재를 긍정하는 사람이라는 니체의 말을 새겨 넣는다.
p52

주디스 올로프는 우리가 부정적인 감정에 빠지는 이유로 수면 부족‘과 ‘높은 불안감‘을 꼽는다. 어린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이 왜 자기 감정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괴로워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저자는 꿈과 수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잠은 우리를 해방시켜주고, 우리 몸이 원기를 되찾게 함으로써 감정의 자유를 얻을 수 있게 도우며, 매일 떠나는 작은 휴가이자 우리를 치료해주는 약이다. 그는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면 사소한 일에도 감정이 폭발하고 과도한 반응을 보이며 매사 부정적인 사람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