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 좀 올려주세요 세상을 배우는 작은 책 12
석혜원 지음, 김진태 그림 / 다섯수레 / 199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펠릭스는 돈을 사랑해’라는 책을 읽고부터 경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 책은 아이북랜드에서 온 책인데 제목이 한눈에 들어와서 읽게 되었다. 전체적인 줄거리는 짜임새 있게 돈을 쓰는 이야기가 나와있다. 내 생각에 용돈이라는 것은 어른들이 간섭을 하지 않는 돈, 저축을 해도 되고, 과자를 사 먹어도 되고,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것이 용돈인 것 같다. 가끔은 부모님의 허락을 받아야 할 때도 있지만 어쨌튼 내가 알아서 쓸 수 있는 것 같다.

요즘은 용돈을 너무 많이 받지만 그래도 짜임새 있게 쓴다면 용돈을 받지 않는 것 보다는 나은 것 같다. 용돈을 받지 않으면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짜임새 있게 쓸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나의 일주일 용돈은 3000∼4000원 사이이다. 어떻게 보면 작은 것 같지만 꼭 필요한 곳에만 쓰고 나면 일주일이 지나고 보면 용돈이 매우 많은 것 같아 보인다. 돈의 액수는 한정되어 있지만 내 마음으로 보는 돈은 다르게 보이는 것 같다.

아주 먼 옛날에는 사람들이 필요한 것을 무엇이든 스스로 만들어야 했는데 이 것을 ‘자급 자족 생활’이라고 한다. 그 다음으로는 물건과 물건을 바꾸는 방법으로 ‘물물 교환’을 하였다. ‘물물 교환’ 은 서로 필요한 물건을 가진 사람을 찾는다는 것도 쉬운일이 아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돈’이다. 돈이라는 것도 알고 보면 정말 소중한 것 같다.

앞으로 돈을 헛되이 쓰지 말아야 겠다. 한푼 한푼 모으면 나중에는 어마어마한 돈이 되겠지? ‘티끌 모아 태산’인 것 같다. 돈이라는 것이 없고 지금도 물물 교환을 하고 있다면 우리 생활은 너무나 불편할 것이다. 그럼 세금 낼 때도 설마 물건을 낼까? 엉뚱한 상상을 하기도 한다. 돈을 소중하게 여기고 꼭 필요한 곳에만 써야 겠다. 그럼 언젠가는 부자가 되겠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어사 박문수
김경순 지음 / 우성출판사 / 1993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서점에서 재미에서 산 책이다. 박문수는 과거에 급제하여 임금의 명을 받고 암행어사로 나섰다. 함께 가는 사람은 하인인 칠성이 뿐이었다. 박문수는 영리하고 민첩하여 암행어사로 나서서 많은 사람들의 억울한 일을 해결하였다. 나는 그 중 도적을 잡는 일이 가장 재미 있었다. 도적을 잡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지금의 경찰이나 추리 탐정 같았다. 박문수가 현대 시대에 태어 났다면 어쩌면 앞에서 말한 듯이 경찰이나 추리 탐정이 되었지도 모른다.

난 여러 책 중에서도 흥미진진한 해리포터 등 모험, 추리에 관한 책이 좋다. 나도 어사 박문수처럼 신분을 비밀로 해야 하는 암행어사처럼 사람들의 억울한 일 등을 풀어주고, 나라를 위해 일하고 싶다. 나중에 박문수는 암행어사라는 이름을 무사히 마쳐 임금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조정에서 일했다고 한다. 박문수의 도움을 받은 사람은 아마 박문수를 잊지 못할 것이다. 내가 만약 위급할 때에 놓여 있을 때 박문수가 지헤로 나를 구하여 준다면 그 때 나 역시 박문수를 잊지 못할 것이다. 박문수의 여러 가지 좋은 점들을 본받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 왕자 비룡소 걸작선
생 텍쥐페리 지음, 박성창 옮김 / 비룡소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어머니께서도 좋아하시는 책이다. 책을 읽을 때 처음에는 왠지 따분했는데 계속 읽다 보니 무언가에 끌리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내용 중 어린왕자가 우리 집 한채보다 작은 별에서 왔다는게 믿어지지 않는다. 우리 집에서만 하루를 보내려고 해도 답답한데... 어린 왕자는 얼마나 따분하고 답답할까? ’라는 생각도 슬며시 들었다. 그래서 하루에 해가 지는 것을 마흔 세 번이나 볼 수 있다고 한다. 우리 지구는 하루에 1번! 물론 시간이 조금씩은 틀려 하루에 1번 보는 것는 드문 일이다.

어린왕자는 상상력이 정말 풍부한 것 같다, 내가 만약 어린왕자라면 양을 그려달라고 했는데 왜 상자를 그려 줬는지 궁금해서 다시 그려달라고 할 것이다. 근데 어린왕자는 그 상자에 양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다니.. 어떻게 보면 조금은 어이가 없지만 정말 상상력이 풍부하다고 생각한다. 어린왕자가 양을 가지고 싶어한 이유는 비오밥 나무의 어린 싹을 양이 먹어 주길 바랬던 것이다. 비오밥 나무의 싹을 없애지 못하면 너무 커버려서 별을 없어지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끝에는 왠지 어린왕자가 불행하다고 느껴졌다. 나도 어린왕자처럼 상상력이 풍부했으면 좋겠다. 어린왕자의 이야기는 정말 감동 깊었던 이야기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네의 일기 삼성 어린이 세계명작 20
안네 프랑크 지음 / 삼성출판사 / 1998년 2월
평점 :
절판


안네는 세계 2차 대전 때 목숨을 잃은 수많은 사람 중 한명이다. 안네는 유대인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아주 끔찍한 일을 당하였다. 하지만 안네는 꿈과 희망을 잃지 않고, 안네의 일기에 자신의 은신처 생활을 기록하였다. 일기장 하나로 안네가 유명한 인물이 되다니 조금은 놀랍다.

안네는 아빠 회사의 은신처 속에서 해방될 날을 기다리고 있는데 어느날 갑지기 나치 일당에게 붙잡혀서 강제 수용소에 가게 되었다. 안네가 은신처에서 해방된다는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만 것이다. 하지만 안네는 강제 수용소에서 많은 사람들을 위로해 주고 항상 밝고 명랑하여서 수용소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해 졌다.

나도 어려운 일이 었어도 안네처럼 항상 웃음을 잃지 않고 살아야 겠다 안네는 강제 수용소에서 짧은 생을 마감하였다. 그러나 안네의 일기는 영원히 우리들의 가슴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 이글을 쓰고 나니 전쟁은 행복을 불행으로 바꾸는 것 같다. 안네가 살았을 때 만약 세계 2차 대전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안네라는 이름과 안네의 일기는 우리가 잘 모를 것이다.

안네의 항상 명랑하고 어려운 일이 있어도 웃음을 잃지 않는 점을 본받아야 겠다. 난 조금만 마음에 안들어도 입에서는 벌써 불평과 짜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안네와 안네의 일기는 영원히 내 마음 속에 깊이 남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괭이부리말 아이들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양장본
김중미 지음, 송진헌 그림 / 창비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괭이 부리말은 인천의 어느 동네이다. 이 동네에는 매우 가난한 사람들만이 사는 동네이다. 숙자, 숙희는 자매인데 아버지께서는 술을 너무 많이 드셔서 어머니와 싸우셔서 어머니께서는 친정에 가셨다. 그래서 숙자가 대신 집안일을 하였다. 숙희는 자존심이 강해서 집안일도 하지 않았다. 동준이와 동수는 아버지께서 돌아가시고 어머니께서 집을 나가셔서 이웃집 아저씨 영호가 돌보아 주었다. 숙자와 숙희 어머니는 아기를 가져서 집으로 돌아오셨지만 불행히도 아버지께서 사고로 돌아가셨다. 숙자와 숙희 어머니의 슬픔은 말로는 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난 부모님 곁에 것이 얼마나 행복하고 다행인 것이 새삼깨달았다. 부모님께서 안계신다면.... 정말 끔찍하다. 가족이란 보금자리가 세상에서 가장 따뜻하고 안전하고 사랑이 넘치는 것 같다. 가족이 없으면 어쩌면 지금쯤 몰래 눈물을 훔치고 있을지도 모른다. 가족은 내가 기쁠 때 같이 기뻐해 주고 슬플 때에는 같이 슬퍼해 주며 위로해 주는 게 가족이란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새삼 가족의 사랑이 소중히 느껴 졌던 것 같다. 가족에게 조금이라도 화가 나면 짜증내고, 불평하는 옛날이 부끄러워 얼굴이 붉어 지는 것 같다. 앞으로 가족의 입장을 생각해 가면서 말하고 행동해야 겠다. 나의 가족이란 것은 세상에서 단 하나 밖에 없으니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