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터슨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지음, 황유원 옮김 / 읻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포는 곧은 절벽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규정할 수 없는 물결이

무엇을 향하여 떨어진다는 의미도 없이

계절과 주야를 가리지 않고

고매한 정신처럼 쉴 사이 없이 떨어진다.


금잔화도 인가도 보이지 않는 밤이 되면

폭포는 곧은 소리를 내며 떨어진다.


곧은 소리는 소리이다.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번개와 같이 떨어지는 물방울은

취(醉)할 순간(瞬間)조차 마음에 주지 않고

나타(懶惰)와 안정을 뒤집어 놓은 듯이

높이도 폭도 없이

떨어진다.


김수영, 폭포(1959)


나는 최근에 박연준 시인의 시집을 읽었다.


사랑이 죽었는지 가서 보고 오렴,

이라는 제목으로 말을 거는 시집을 어떻게 그냥 지나칠 수 있을까?

그 물음에 아직?, 아직. 이라고 답하는

박연준의 시들이 좋았다. 


그렇지만 좋았다,라고 말하면

어딘가 시가 납작해지는 것만 같다.

너무 납작해져 버려. 시에 대해서 늘 더 잘 말하고 싶다.

시에 대해서 말할 때 어딘가 모르게

무구하고 겸언쩍은 얼굴이 된다.

시는 언제나 ‘미지’의 것.


근데 정말 그런가?

되돌아보면 그렇지 않은 인상으로 다가왔던 시들이 있다.

그건 바로 김수영의 시.

꾸짖고 호통치는 것만 같은 김수영의 시를 들으면

무덤에서 죽은 사람이 기어코 올라오는 것만 같다.

나는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의 ‘패터슨’을 읽으면서

김수영을 떠올렸다.


시집 『패터슨』은 ‘패터슨’이라는 이름을 가진 도시와 남자를 

호명하면면서 현대인의 마음과 도시의 유사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사랑은 위안거리가 아니다, 그보다는 차라리

두개골에 박힌 못

P117


과거는 상류에, 미래는 하류에 

그리고 현재는 쏟아져 내린다: 굉음, 

현재의 굉음, 말— 

그것이, 필연적으로, 나의 유일한 관심사 .

P202



여전히 시는 어렵지만, 시를 읽으면서 김수영을 떠올렸고 1883년에 미국에서 태어난 윌리엄스와 1921 서울에서 태어난 김수영을 이어보는 좋은 시간이었다.


*‘읻다 서포터즈’로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