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몸 엑스포메이션
하라 켄야.무사시노 미술대학 히라 켄야 세미나 지음, 김장용 옮김 / 어문학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알몸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눈길을 끈다. 그런데 거기에 붙어있는 엑스포메이션이란 단어가 낯설다. 책을 펴보니 가장 먼저 엑스포메이션(Ex-formation)의 뜻에 대해 나온다.  
인포메이션 (information)의 상대어로 고안된 조어란다. 어떤 사물에 대해 설명하거나 알리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모르는지에 대한것을 알게 하는" 것에 대한 소통방법을 말하는 것이라 한다.  일상 속에서 아무런 의미 없이 지나쳐버린 것들에 대해 어떤 특별한 계기가 마련되어 그것을 새롭게 볼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인데 참 신선한 주제인 것 같다.

하라 켄야는 그래픽디자이너이고 디자인센터 대표이고 미술학교 교수이다. 그가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과 함께 이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한다. 
디자인 책 답게 이 책에는 글 보다 사진과 그림 많다. 처음 나온 사진은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알몸인 여자가 서있는 사진이다. 포즈를 취한 것도 아니고 조명이나 배경이 멋지게 있는 것도 아니고 몸매가 멋지지도 않다. 그냥 알몸의 여자 사진이다.  책 제목에 알몸이 들어가지만 이런 사진이 나올 줄 몰랐기 때문에 좀 놀랐다. 그리고 부끄러웠다. 책을 넘기다 보면 당혹스러운 그림이 종종 나온다. 소녀 만화의 주인공들이 모두 옷을 벗고 있는 그림이라던가 일상생활을 하는 알몸의 여자 그림이 그렇다. 우리가 알몸을 보면 먼저 성적인 것을 떠올리기 때문에 부끄러운 것이고 당혹스러워 하는것 이리라. 목욕탕에 가서 사람들의 알몸을 봐도 성적인 것과 연관시키지 않기 때문에 부끄럽거나 당혹스럽지 않은 것과 반대되는 현상일 것이다.
그런데 처음 봤을때 당황스러웠던 그림들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봤을때는 그 정도가 덜해졌다. 
이 책에는 사람의 알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사물에 팬티를 입혀 놓은 모습, 어떤 공산품들이 완성되기전의 모습, 여러가지 재질로 피부를 표현한 알몸의 아기 모습, 여러가지 무늬와 여러가지 색으로 표현한 사람의 피부색, 엉덩이 모양으로 만들어진 물체들등이 실려있다. 작가의 의도대로 모든 작품을 다 잘 본건지는 모르겠지만 신선하기는 했다. 우리 주변의 일상적인 물건들이 이렇게 보일수도 있구나, 일상적인 모습에서 옷만 벗겨도 이렇게 다른 감정으로 와닿을 수도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