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켜진 사무실 법칙
김종원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처음 블켜진 사무실의 법칙이란 책에 대해서 서평을 신청하였을때  '조금은 빡빡한 내용이겠구나'하는 생각과 함께 하지만 직장인의 입장에서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책을 처음 받았을때 심플한 디자인이 먼저 눈에 들어왔고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누구나 읽는데 부담이 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불켜진 사무실의 법칙이라는 무거운 제목과는 다르게 알아야할것에 포인트를 주어서 눈에 쉽게 들어왔으며 같은 패턴의 페이지로 무거운 내용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한 내용이 끝나고 나면 [조직에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 되는 아주 사소한 습관] 이라는 글이 노란바탕에 있어 흥미를 더욱 돋구워 줍니다.

불켜진 사무실의 법칙은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책으로 읽는데 무리없이 2시간정도에 걸쳐 읽었습니다.

"불켜진 사무실의 법칙"

책 제목에서 알수 있듯이 우리나라회사의 야근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이책은 왜 야근이 망할 회사의 습관인지 자세히 예를 들고 야근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는 많은 공감을 하였습니다.

책의 처음 한국의 위기에 대해서 이야기하며 시작합니다.

글쓴이는 우리나라의  위기는 개인의 혁신에 대한 부재, 전통적인 사회구조 수직적인 형태로 인하여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처음부터 이책 내용에 흥미가 가는 부분입니다.

정말 우리나라 회사의 대부분이 이렇듯 타의적인 야근이 빈번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야근을 하는 이유는 정말 일이 아니라 상사가 야근을 하기 때문에 눈치를 보며 하게 됩니다. 제가 처음으로 다녔던 회사의 경우는 모든직원이 동시출근을 미덕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이 없어도 다른 직원이 일을 끝마칠때까지 기다려야 했습니다. 그로인해 회사에 있는 시간은 점점더 길어졌고 점점더 많은 시간을 죽였습니다. 어쩌다가 정시퇴근을 하게 되면 상사의 눈치때문에 마음이 심란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전통적인 수직적인 구조로 인해 상사가 야근이면 사원은 자동인 것입니다. 이에 따라 자신의 개발보다는 일을 야근까지 끌고갈 생각만 하게 됩니다.

 

또한 타의적인 야근이 아닌 자의적인 야근이 있습니다.

이책을 읽으면서 내 자신도 이랬었던가 하는 예가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초기 : 일이 별로 없고, 밤샘하는 일도 별로 없다

*프로젝트 중기: 여전히 일이 많지 않으며, 일에 대한 압박도 많지 않다.

*프로젝트 후기:죽음이다. 일이 너무 많다. 늘 야근에 특하면 밤을 샌다.

*프로젝트 종료후:계속되는 죽음이다. 실수가 많았다. 그걸 다 해결하려니 24시간이 모자란다.

 

우리는 프로젝트가 주어지면 초기부터 종료후까지 일을 효율적으로 할수 있게 계획을 짜고 시간을 배분해야합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프로젝트 초기에는 아직 시간이 많으니까 하는 생각과 함께 띵까띵까 놀게 됩니다. 이러다가 프로젝트 후기쯤 오면 이제 발에 불똥이 떨어진 것처럼 허겁지겁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제 초기, 중기에  죽였던 시간들까지 일해야하므로 야근에 특근을 하고 이에따라 피로에 시달리며 효율이 떨어지고 실수가 잦아집니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책은 야근에 대한 단점을 이야기하는데 그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야근이 없어지고 일의 효율성이 증대되는지 어떻게 해야 장기적인 발전을 할 수 있는지 자신에게 어떻게 투자를 해야하는지 회사내에 어떤 직원이 필요한지 사원, 상사, 대표등 모든 사람들이 알아야 할것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모든 것들은 이해하기 쉽게 많은 국내외적인 실제의 예가 있습니다.

그리고 살아가면서 정말 중요하게 생각되는 어느 곳에서나 빠지지 않는 직장내에서뿐만 아닌 전체적인 인간관계의 증요성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습니다.

인간관계의 중요성!

모든 사람들이 느끼겠지만 살아가면서 가장 힘들지만 꼭 해야하는 일중 하나 일 것입니다.

이책을 덮을 즈음 저는 직장에서 어떻게 해야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약간의 그림을 그려보았습니다.

우리나라의 변해야하는 직장인들과 대표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