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1기 - 당신의 노후를 바꾸는 기적
김경록 지음 / 더난출판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미래가 불안해서 언제나 무언가를 배우러 다녔고 늘 이것저것 공부를 했다. 이런 나를 보고 직장을 다니고 있으면서 왜 자꾸 다른 걸 하는지 묻는 사람들이 많았다. 물론 나는 여전히 불안하다. 하지만 요즘엔 내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나보다 더 불안해하고 있다.
예전에 날 보며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한다고 질타하던 그 사람들이 이제는 내게 앞으로 먹고살려면 뭘 해야 하는지 물어보고 있다. 회사에 출근을 해서도 이 일을 언제까지 계속할 수 있을지, 지금부터 뭘 준비해야 되는 게 아닌지, 준비해야 한다면 뭘 해야 할지 등등을 고민하고 있다.

우리는 이런 시대에 살고 있다. 만약에 나와 내 주변 사람들이 갓 대학을 졸업한 사회 초년생이거나 30대 초반만 되었더라도 지금처럼 이런 고민을 하고 있었을까? 내가 잘 하는 게 뭐지라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고민을 했었다면 지금 우리는 밥벌이, 돈벌이로의 기능에 더 치우친 앞으로의 일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누가 이런 고민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만약에 공무원이나 공사 같은 신의 직장이나 월급 빵빵한 기업에 다닌다면 이런 고민을 하지 않을까? 자, 그럼 이렇게 생각해 보자. 갑작스러운 구조조정 등으로 피치 못하게 회사를 나와야 한다거나, 정년이 보장된 경우 정년까지 꽉 채우고 퇴직을 했다고 한다면 그다음은? 그다음은 어떤 일을 하면서 남은 노후를 보낼 건가? 혹시, 치킨집 창업을 생각하는 건 아니겠지.

내가 죽을 때까지 일을 해야 한다면 어떤 일을 하면 행복할지, 어떤 일을 해야 밥은 먹고살지를 고민했을 때부터 생각했던 것들이 <1인 1기> 이 한 권에 고스란히 들어있었다. 책 제목부터 지금 우리가 고민하는 것을 명쾌하게 해결해 주는 것 같다.

 

<1인 1기>는 빨리 보면 40대, 주로 50대부터 은퇴 이후를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저자인 김경록은 수명은 길어지지만 저금리 시대로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팍팍한 노후를 보내게 된다고 말한다. 연금이나 저축 등의 자산만으로는 꿈에 그리던 노후는 없다. 뿐만 아니라 의료기술의 발달과 늘어난 수명만큼 몸과 마음이 건강한, 노인이라고 하기엔 이른 중장년층이 일을 하지 않고 하루하루를 보낸다는 것은 지옥과 다름이 없을 것이다. 우리는 퇴직 후에 적어도 20~30년은 일을 해야 하는 세상에 살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일을 해야 하고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까?
100세 시대를 바라보는 한국의 중장년층에게 자신만의 기술, 현재 직장을 다니고 있더라고 특성화된 다시 말해 남은 인생에서 일하며 먹고 살 수 있는 기술을 준비하라고 말한다.

책은 크게 4장과 실전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금리, 고령화 사회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그 대비책으로 기술을 익히라고 하는데 왜 기술을 익혀야 되는지에 대해 각종 자료들을 통해서 객관적으로 설명해 준다. 그리고 다시 생애설계를 짜고 실천하는 방법을 소개해 준다.

고3처럼 공부하고 기술을 익히고 자신의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 우리나라는 대학교육까지는 사생결단하고 많은 자금을 투입하는 반면 정작 평생교육에는 인색하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말이 고3 때는 이상하게 들리지 않았다. 은퇴가 얼마 남지 않은 우리도 지금 같은 마음이어야 한다.

펜을 들고 많은 줄을 그어가면 읽었지만 그중에서도 나는 저자가 말하는 '기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정의한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첫째, 혼자 설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다른 사람보다 훨씬 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돈을 벌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어야 한다.라는 4가지의 정의로 깔끔하게 기술에 대해 설명하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돈을 벌 수 있어야 한다' 가 인상 깊었다.

다른 사람에게 차별화된 부가가치를 제공하면 돈이 그 대가로 들어온다. 하지만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어도 시장에서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중략) 정말 신기한 기술을 가졌지만 그 기술이 특별히 추가적인 부가가치를 낳지 않는 한 사람들은 거기에 돈을 많이 지불하지 않으려 한다. 카트 정렬을 좀 더 빠르게 한다고 해서 그 사람을 스카우트하려고 돈을 수천만 원씩 쓰지는 않는다.

아~그동안 내가 해왔던 것들이 정말 제대로 된 학습이었는지 의문이 들었다. 나름 열심히 해왔지만 들인 노력과 시간에 비해서 항상 뭔가가 부족하다고 느꼈던 나의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열심히만 했지, 제대로는 하지 않았던 것이다. 잠시 짜증이 나고 한동안 막막했지만 이제라도 뭘 잘못 판단했는지 알 수 있으니 다시 설계를 해서 시작해야지.

 

 

<1인 1기>에는 앞으로 이런 일이 유망해지니까 이런 걸 배우고 저런 자격증을 따세요라는 조언은 없다. 왜 우리가 노후를 미리 준비해야 하는지, 노후를 준비할 때 왜 기술을 배워야 하는지, 기술을 배움으로써 어떤 이익이 있는지를 상세하게 알려주는 책이다. 현재에 안주하며 사는 사람들은 자극을 받고 걱정을 하던 사람들은 막연한 걱정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정확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행동력을 준다.

에이~기술을 배우라고 하면서 어떤 걸 배우라고 알려주지도 않네라고 생각한다면 그런 생각부터 고쳐먹길 바란다. 내게 맞는 기술을 찾고 노후를 대비하는 것은 결혼을 하고 아이를 키우는 것보다 당신 인생에서 더 크게 자리 잡은 중요한 부분이다. 당신이 당신의 인생에서 주인공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1인 1기>를 통해서 멀리 바라보길 바란다.

미래는 불안하다. 하지만 그 불안함이 현재를 더욱 즐겁고 알차게 살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나는 그 불안함으로 공부하고 학습하고 경험했다. <1인 1기>를 통해 내가 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앞으로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조언을 받았다. 회사에서 나가게 되거나 나이가 들어도, 밥 먹고사는 정도를 넘어서하고 싶은 거 하고 살 수 있을 만큼의 돈을 벌 수 있는 당신만의, 돈이 되는 기술을 찾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