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위 있게 사는 법
김지수 지음 / 팜파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삼성 리움미술관에서 마크 로스코 전시회가 열렸을 때,
일간지 및 각종 미술지에서는 그에 관한 기사를 일제히 비슷비슷한 내용으로 실었다.
마크 로스코를 노래한 우리나라 시(황동규)가 있다는 것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
《보그》의 기사는 그래서 단연 돋보였다.  

그때 나는 홍대에 있는 어느 커피숍에서
거의 처음으로 《보그》를 제대로 읽기 시작한 참이었는데,
다행히 그 커피숍에 《보그》의 기간본이 몇 권 더 있어서
그 자리에서 두세 권을 더 읽어볼 수 있었다.
그리고는 시중의 어떤 잡지들보다

《보그》의 피처 기사들이 훨씬 더 양질의 콘텐츠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 글의 수준이나 소재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좋았던 것이다. 

생각해보니 이는 어쩌면 당연했다.
《보그》는 광고 수익에서 탑을 기록하고 있는 잡지 중 하나로,
만성적인 경제적 어려움에 찌들어 있는 여느 잡지들보다
더 나은 여건에서 취재나 글쓰기가 이루어질 터였다.
그러니 파울로 코엘료를 만나러 남프랑스로 날아가고,
프랭크 스텔라를 만나러 뉴욕 한복판으로 뛰어드는 일 같은 건 《보그》에서만 가능하고
그래서 독자는 “패션지” 《보그》에서
다른 잡지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피처” 기사를 읽을 수 있던 것이다. 

이후, 정기구독자 수준으로 《보그》를 찾아 읽으면서 나는
이것이 꼭 《보그》의 경제적 이점 때문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제는 《보그》의 피처디렉터 김지수가 없었다면,
《보그》의 피처 기사들은 그리 매력적이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김지수의 인터뷰는 언제나 마음에 들었다.
글의 형식이 이렇듯 다양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마치 인물 소설을 읽는 느낌이었다.
김훈의 인터뷰에서는 자기자신을 《현의 노래》의 여인과 동일시했고,
오정희 인터뷰에서는 오정희 소설의 정서를 그대로 담고 있는 글쓰기를 선보였다. 

잡지의 글쓰기와 단행본의 글쓰기는 분명 다르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단행본의 독자가 그래도 패션지의 독자들보다는 더 까다로울 것이라고 짐작하기 쉽다.
패션지의 독자인 적이 한번도 없었던 (보수적인) 나를 이토록 유혹했던 김지수가
첫 단행본을 출간한 것이 그래서 무척 흥미롭다.
단행본 독자들에게도 충분히 사랑받을 만하다는 생각을 전부터 했었다. 

이 책에는 《보그》에서 읽은 적이 있던 글도 몇몇 있지만
김지수의 글을 이렇게 한꺼번에 모아놓고 읽어보니
글이 참 다층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새롭다.
너무나 사적인 이야기인 듯싶다가
그 주인공 일인칭 시점이 사실은 주인공 다인칭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건 김지수 자신의 이야기인 듯하지만 사실은 아니다.
무척 개인적인 이야기로 폭로적인 고백을 하며 독자의 말초적 흥미를 자극하다가도
어느새 이야기는 더 보편적인 방향으로 흘러간다.
작은 소재의 컬럼 같지만 여성용 자기계발서의 느낌도 난다.
패션지 《보그》에서 패션이 아닌 피처로 살아남기 위한 김지수만의 글쓰기 방식이었던 것일까. 

이 시대에 글로써, 자신의 이야기를 남들도 흥미 있게 들을 수 있도록 한다는 건
참 놀라운 힘이다.
김지수의 인터뷰집도 단행본으로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
패션지 독자들만 독점했던 김지수가
더욱 많은 단행본 독자들에게도 널리 소개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