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황금버스를 타다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62
손현주 지음 / 자음과모음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자음과 모음의 청소년 문학 시리즈

62권 소년, 황금버스를 타다에요.

불량가족 레시피 작가 손현주님의 새로운 대표작이라고해서

눈여겨보았네요.

요즘엔 유기동물 문제가 심각해서 관련 내용이라고만 알고

책을 선택했는데 유기동물 문제 뿐만 아니라 학교폭력이라든가

가정의 문제까지도 골고루 다루고 있어요.

 

사고로 남편을 잃고 난 후 우울증에 걸린 엄마는

아빠의 부재에 대한 허전함을 유기동물들을 통해 메꾸고

싶었는지 떠돌이 동물들을 계속 거두게되요.

형편이 맞지 않음에도 키우게되서

17마리 개와 5마리 고양이로 늘게 되지요.

아빠가 없는 상황에서 힘든 남매까지 함께 힘들게

생활하지만 환경은 점점 더 나빠지기만 해요.

문득 예전에 텔레비젼 프로그램에서 유기동물에 집착하는

아주머니 이야기를 본 기억이 났어요.

유기동물에 대한 마음은 이해가 되지만

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라면 그 또한 문제가 있지 않은가

생각이 많았었는데 이 이야기를 읽고서도 같은 생각이 들었어요.

  유기동물을 돌보면서 정작 남매의 생활에는

정신을 제대로 쏟지 못하는 상황이

정상이 아닌것은 분명하니까요.

어쩌면 현실도피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결국 주인공 주노네 가족은 살던 집에서도

쫓겨나고 공터의 버려진 버스에서

생활하게 되요.

 

청소년기 예민할때 이런 일이 생긴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하니 주노가 너무 힘들것 같았어요.

학교에서도 생활이 순탄하지 않는데

예지라는 친구와 소통하게 되서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때문에 또 사건에 휘말리기도 해요.

 

 학교에서 효재의 괴롭힘을 선생님께 말했을때

담임선생님의 태도는 어른으로써 정말 창피했어요.

한데 그런 모습들이 현실에서 거의 비슷하다는 사실이

더 문제이지요.

학폭위 같은 제도가 생겨도 그 문제를 다루는 어른들의 모습이

올바르지 못하니 근본적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나마 사건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노에게 관심이

없어보였던 엄마가 예지의 말을 듣고 회의에 나와 강경하게 대하는 모습은

그나마 다행이었지만 그 상황에서도

주노 엄마의 모습은 이성적으로 보이지는 않았어요. 

  다행히 그 사건 이후로 현실을 직시하고 아이들을 위해

유기동물들을 입양보내기로 결심한 건 다행이에요.

어렵사리 도움을 청했던 동물병원 원장님의 모습도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지만 좀 더 다른 대안을 제시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하는 생각을 해보았어요.​

꿈속에서 본 황금버스는 주노에게

어렵고 힘든 현실에서 조그만 희망같은 꿈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면서 더 나은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주노가 되길 바래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