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 가족
그레구아르 들라쿠르 지음, 이선민 옮김 / 문학테라피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프랑스 아마존 베스트셀러이자  쾨르 드 프랑스 문학상 수상
마르셀 파뇰 문학상 수상, 카르푸르 데뷔 소설상
파리 리브고슈 문학상 수상, 메오 카뮈제 문학상 수상한 화려한 이력의 책이기도하고

가족과 개인주의라는 단어가 이질적인 느낌이라 선택한 책이에요.

[개인주의 가족]

주인공 에두아르는 일곱 살에 쓴 시로 가족들의 칭찬을 엄청 받았어요.

잡화점을 하는 아빠 덤보와 미인인 엄마, 남동생 여동생 이렇게

가족을 이루고 있지요.

​프랑스인이 작가여서 가족이나 사회적 분위기가

우리나라와는 많이 달라서 낯설었어요.

모두의 기대를 받는 에두아르는 기숙학교에서 지내게 되는데

자유분방한 영혼의 주인공에게 기숙학교는 감옥같은 곳이고

그사이 부모님은 이혼을 하고 남동생은 정신병원에 가는 등

가정적으로 불행해져요.

작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던 주인공은 카피라이터로 성공하고 모니크라는 연인과의

사이에 딸도 낳게 되지요

하지만 이야기 속의 가족들은 그다지 행복해보이지 않고

전반적으로 불행의 연속이에요.

남동생이 정신병원에서 추락해서 사망하고 대를 이어 장사하던 아빠는

가게를 닫고요.

엄마에게 새 애인이 생기거나 주인공이 새로운 연인과 사랑에 빠지는 등

주인공 에두아르의 부모형제가 흩어지듯이

자신의 가정도 흩어지네요.

모두들 떠나는 건 서로에 대한 기대가 너무 컸기 때문이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어요. 영원할 것 같았던 사랑의 감정이

사그라지는 건 기대가 너무 컸기때문이라고요.

이야기 초반에 아빠가 어린 에두아르에게 했던 말

글을 쓰면 아문다는 말이 의미하는 바가 이 책의 주제이지 싶다

이혼했지만 서로를 잊지 못했던 부모님은 마지막에 가서야

고마워라는 말로 화해의 손길을 내밀게되요.

주인공 에두아르도 마지막에 자신의 차에서 기다리는

한 여인을 향해 다시 걸음을 옮겨요

새로운 사랑을 꿈꾸는 거겠지요.

뭐랄까 우리나라의 가족 분위기가 옛날에 비해 많이

무너졌다고는 하지만 개인주의적인 성향은

많지 않은 편이라 프랑스의 개인주의적인 삶이

가득한 프랑스의 가족의 풍경은 많이 낯설었어요.

이런 낯선 가족들의 모습이 미래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아질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 너무 마음이 답답해지는 느낌이기도하고요.

 

주인공이 자신의 글만큼은 비겁해지기 않기를 바랬듯이

우리도 가족에게 진심으로 다가가기를 바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