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독 이모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21
박민정 지음 / 현대문학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4년 일곱번째 책♡
누군가를 깊이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기에 ‘쓰기‘가 어려운 이유를 알거 같다.

우정이 동독 지식인의 삶의 문제를, 이모의 심정을, 한국과 비슷한 상황에서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해보려고 하지만 그들을 완전하게 헤아릴 수 없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음‘을 안고서 계속 소설을 쓰며 우정은 그들어 대해 생각한다. 문학의 실천적 기능이란 ‘이론적 앎‘이 아닌 ‘깨우침으로서의 앎‘에 있는 것은 아닐까. - P123

상황과 감수성의 유사성으로 형성되는 교차점을 보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동일한 반복은 없다. 우리는 ‘비슷한‘ 감각으로 서로에게 투영하는 자기의 (부분적으로 낭만화되어 반복되는 듯 보이는) 혁명적 열망 또는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보는 것과 동시에 서로의 ‘작은 차이‘에 기민하게 반응해야 한다. 나와 타인의 조금 다른 감각을 사려 깊게 보아야 한다. 대충 보아서는 안되고, 한 번 겪었던 것이므로 다 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계속해서 모르게 되는 것이 있음을 언제나 염두에 두면서 자기가 만들어놓은 접점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 P123

우린 마치 만국박람회에 전시된 부족처럼 벌거벗겨진 채 구경거리가 되어 있는 듯하다. 누구의 침실에나 있는 피임약과 콘돔이, 누구의 욕실에나 있는 면도기와 샤워볼이 왜 전시의 대상이 되어야 하나? 떠나간 내 나라는 이제 관광객들의 추억에 박제되는 한낱 오브제인가? 동독의 프로파간다와 동독의 부패와 동독의 실책이 포르노 화보처럼 전시되어 있고, 부인들이 입었던 옷가지,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 학자들의 서재조차 디오라마로 대현되어 있다. DDR박물관은 동독인들을 영원히 추방하는 소외의 공간이다. - P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