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골목식당을 가기 위한 기초 일본어
Mr. Sun 어학연구소 지음 / oldstairs(올드스테어즈)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외여행이 드디어 거의 풀리고

엔화 환율이 많이 떨어지면서

요즘 사람들이 제주도보다 일본을 더 간다고 하죠

일본여행에서 도움이 될 책을 소개합니다




요즘은 틈틈이 일본어 연습중

왜냐-면 곧 일본 여행을 가기 때문이지요

여행 중 소소한 목표라면 바로

‘당당하게 일본어로 음식 주문하기’

인데요

운 좋게도 이 상황에 딱 맞는

「골목식당을 가기 위한 기초 일본어」

책을 만나게 되어 이 책을 보면서 연습중이에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부터

메뉴판 읽기 + 기초회화 연습까지 할 수 있는,

일본어 초보자 그리고 여행자 맞춤 일본어책📚✨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음식으로 외울 수 있게

또 반복하여 쓸 수 있게 연습할 수 있는 칸도 있구요

최근에 남자친구 교양수업 때문에 일본어 연습을 한 적이 있었는데요, 몇 년이나 흘렀지만 고등학교 때에도 일본어 수업을 열심히 들었어서 히라가나는 거뜬 합니다


참치 마구로와 오오토로, 새우 에비, 계란 타마고,

초밥집에서 조금은 들어본 단어들



이 책만의 특별한 장점이라고 할까요

왼쪽 페이지는 진짜 일본에서 메뉴판을 보는 것처럼,

오른쪽 페이지는 한국어 발음과 해석이 쓰여있어서

메뉴판 읽기 연습을 확실히 할 수 있다 ...!

이 점이 너무 맘에 들었어요

또 일본에서 가보면 좋을 맛집들을 특징과 함께 소개해주고 있답니다

남자친구가 요 책 보면서

진짜 일본에 가져가야겠다고 하더라구요 ㅋㅋㅋㅋ

물론 제 생각도 같습니다 ㅎ.ㅎ

-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골목식당을 가기 위한 기초 일본어
Mr. Sun 어학연구소 지음 / oldstairs(올드스테어즈)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여행을 준비하는 자라면 재밌게 볼 일본어책, 눈에 익히고 가는 다양한 음식 단어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챗GPT·바드 인공지능이 바꿔놓을 핵심역량 4가지
윤석만 지음 / 가디언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사회를 대비해 우리가 갖춰야할 소통, 인성, 논리 등의 능력을 갖춰야할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챗GPT·바드 인공지능이 바꿔놓을 핵심역량 4가지
윤석만 지음 / 가디언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챗GPT, 한국어 기능을 탑재한 바드, 자율주행차..
AI기술들은 이미 우리 삶 곳곳에 들어와있다
요즘 유행하는 AI프로필사진도 그렇고,
입력값을 주면 빠른 시간 내에 거의 올바른 출력값을 내놓는 AI의 시대가 왔다.

책 <챗GPT•바드 인공지능이 바꿔놓을 핵심역량 4가지>에서는
이런 인공지능의 시대에 일하는 사람이 갖춰야할 핵심역량에 대해 말하고 있다.

미래인재의 핵심역량 4가지는
연결, 인성, 실천, 소통이다.

#1.연결 지능은 창의성의 핵심이기도 하다.
“창의성은 사물을 연결하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가 창의성에 대해 자주 했던 말이다.
대개 우리는 창의성을 완전히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착각하지만,
창의적인 것의 본질은 색다른 결합에 있다.

#2.인성, 휴마트 humart
정보를 습득하고 출력해내는 것은 인공지능을 따라갈 수 없다.
결국 우리는 더욱 똑똑해지는 것 뿐 아니라 인간적인 사람이 되도록 해야한다.

#3. 실천 지식, howknow
스스로 지식을 만들어나가는 실천 지식의 역량이 필요하다.
정해진 문제의 답만 구하는 능력으로는 부족하다.

#4. 소통 능력
기술의 고도화로 인간의 역할은 이를 관리하고 다양한 업무를 조율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협업의 방식을 취하는 일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에서 필요한 것은 상대방 말을 먼저 잘 듣는 경청과 공감 능력이다.

더 이상 시험지에 답을 써내려가는 능력은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미래 사회를 마주할 우리는
인공지능을 다룰 줄 아는 사람, 뭐가 옳고 그른지 분별할 수 있는 사람,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교육 방법에 변화가 필요하다.
온라인 강의를 먼저 듣고 토론으로 의견을 나누는 플립러닝 방식의 교육,
단지 강의실에서만이 아니더라도 생활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글이나 말로써 나누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책 속에서..
새로운 생각을 얻은 부분이 있다.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언어능력은 말을 잘하는, 글을 잘 쓰는 능력이거나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외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능력이다.
‘그러나 언어는 생각을 표상하는 도구라는 관점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도 언어이고
계산할 때 필요한 정수의 개념과 사칙연산도 언어의 한 종류이다.’

문과와 이과로, 컴퓨터공학과와 국문학과로 나누는 사회에서 살아온 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국어가 모두 언어라는 생각이 신기했다.
새로운 시대가 열린 것 같은 느낌이었다.
실제로 이 언어들은 모두 논리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래서 수학과 언어는 같은 원리로 작용하고, 이 두가지를 같이 잘 할 가능성도 크다.

마치며..
인공지능의 시대에 우리가 갖춰야할 능력은 곧
인공지능이 아무리 고도화된 학습을 통해서라도 익힐 수 없는 것이다.
배운 공감이 아니라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공감.
주어진 정보를 연결해서 새로운 것을 떠올리는 능력.
사람과 사람을 대하는 소통능력.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것들이지만
이것들이 나의 능력이 되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AI #챗GPT바드인공지능이바꿔놓을핵심역량4가지

%리뷰어스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드나잇 뮤지엄 : 파리 - 하루의 끝, 혼자서 떠나는 환상적인 미술관 여행
박송이 지음 / 빅피시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 여행 브이그로그를 보면 꼭 나오는 미술관, 건축물, 예술 작품들,

유튜브 브이로그나 지인들 인스타에서도 유럽에서 미술관 간 것을 보며 부럽다, 라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미드나잇 뮤지엄: 파리 를 읽고 그런 유럽여행을 간접적으로 즐길 수 있었다.

총 9개의 미술관과 대표적인 작품들 몇 가지씩을 소개하고 있는데,

프랑스에서 꼭 가본다는 오르세 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로댕 미술관 등

해설사분과 함께 미술관을 관람하는 듯 했다.

미술, 명화, 예술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괜찮았다.

옛날 이야기 듣듯, 작품에 대한 해설과 화가의 생애까지 눈에 쏙쏙 들어왔다.


마음에 들었던 작품 하나,

내가 지인의 SNS에서 보고 부럽다고 생각했던 작품,

클로드 모네의 <수련> 이라는 작품이다.

모네가 그려낸 자연은 내 마음을 안온하게 만들었기에 가장 인상적이었다.

오랑주리 미술관, 2층으로 이루어진 전시장 중 건물 한 층 전체가 오로지 수련만을 위한 공간으로 쓰이고 있다.

22개의 판넬로 이루어진 거대한 작품 수련,

p.137~141 중에서

흔히 그림 ‘앞에서’ 작품을 관람한다고 하지만 모네의 수련은 연못 ‘안에서’ 자연 속에 둘러싸여 감상하는 기분이 들 정도다.

… 따라서 오랑주리 미술관의 <수련>은 작품 그 자체가 주는 아름다움은 물론 전시 공간까지 함께 감상해야 한다.

… 수련 갤러리 가운데 놓인 관람용 의자에 앉으면 수련과 하늘, 구름과 나무가 반영된 잔잔한 수면이 둥글게 우리를 감싸 안는다.

천장에서 쏟아지는 자연광은 날씨와 시간대에 따라 변화하며 수련을 비추고 무한한 평화 속에서 시간이 흐른다.

전쟁 이후 상처받고 혼란한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을 위해 모네가 건넨 가장 조용한 위로인 셈이다.

놀라운 것은 이 작품을 모네가 기증했다는 것! 해설이 있으니 그림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책을 통해 먼저 만나보았는데 이 작품은 꼭 실제로 보아야지.


원래는 기차역이었다는 오르세 미술관에 전시되어있는

귀스타스 쿠르베의 <화가의 아틀리에>.

P.48~54

귀스타스 쿠르베는 인간을 그리던 풍경 화가였다.

객관적인 시선으로 자신이 살아가는 시대를 담아내며 ‘지금’,’여기’에서 ‘우리’의 모습을 바라보자고 외쳤다.

누구나 그림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던 그의 그림은 그때나 오늘날이나 모두에게 공평하다.

왕립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주제와 기법, 양식 등의 요소를 갖춘 역사화가 잘 그린 그림으로 평가되던 시대,

혁명을 통해 신분제가 사라지고 평등한 세상이 되고나서 사실주의가 등장했다.

이 작품의 누드를 등진다는 것은 이제껏 주류였던 고전 회화의 전통을 거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