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의자 -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정도언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왜 그랬을까, 나는 왜 이럴까, 대체 저 사람은 무슨 생각을 갖고 있는걸까, 평소 그 사람답지 않게 왜 그랬지...?
사람에 대해 그러니까 내 자신 그리고 나와 가까운
사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하며 산다. 출생부터 삶의 환경 그리고 자라난 모습과 배경까지 알면 더 그 특정인에 대해 더 잘
이해한다고 여기게 된다. 그런데 그것만으로는 이해 할 수 없는 모습을 보게 될 때가 있다. 타인은 물론 나 자신에게서도...... 사람에게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모습 뿐 아니라 무의식의 세계가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 자신이 어떤 상황 속에서 하게 되는 말과 행동
그리고 선택이 어떤 연유로 비롯된 것인가에 대하여 스스로도 잘 설명이 되지 않을때가 있다. 그럴때 이따금 TV에서 신경정신과 의사들이 나와 하는
이야기를 듣다보면 흥미롭기도 하고 나 자신의 말과 행동이 일정 부분 이해되는 대목도 있고 그렇다.
이 책 역시 그랬다. 프로이트의 책도 오래전에
읽었더랬는데 알듯 말듯하고 또 어떤 부분은 공감이 안되거나 거부감이 들었던 프로이트를 읽는 것보다 정신분석의 정도언 전문의의 <프로이트의
의자>를 읽는 게 훨씬 이해가 쉽고 재미있었다. 당연한 얘긴가?
어쨌든 그렇게 마음을 읽어주는 기분이 들어 이해받는
느낌이 들면서 늘 그렇듯이 위로가 되는 느낌도 들었다. 반면에 나 자신이 드러나 보여 부끄럽고 뜨끔한 대목도 물로 많았다. 그러나 어느 편이든
눈에 보이거나 손에 잡히지는 않으나 엄연히 존재하며 우리 삶을 지배하는 정신에 대해 알게 되고 다시 생각해 보는 과정은 흥미롭고 즐겁다.
<프로이트의 의자>는 2009년 초판 발행
이후 이번에 새롭게 나온 책에서는 정신분석가와의 대화, 마음 공부를 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안내서가 더 첨가되어 있다. 나는 처음 읽었는데
앞으로 틈틈이 두고 읽어도 좋을 것 같다.
숨겨진 나를 들여다보기, 무의식의 상처 이해하기,
타인을 찾아 끝없이 방황하는 무의식, 무의식을 대하는 다섯 가지 기본 치유법 이렇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에세이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다. 좀 더
들여다보면 내 마음은 어떻게 생겼을까, 어떤 욕망이 우리를 움직일까, 누구에게나 마음의 경호실이 있다, 마음에는 여러가지 색이 있다, 불안, 공포, 분노, 좌절,
망설임. 열등감, 시기심. 질투, 자신을 너무 사랑하는
사람일수록 수줍음이 많다, 애착과 고독, 오해와 집착, 사랑, 복수, 나의 현재 시간은 몇시, 자신의 언어로 말하기, 용서받으려고 애쓰지 마라,
꿈과 환상을 잘 이용하자 등이다. 제목만 읽어도 솔깃한 내용들. 읽고 나면 나와 남에 대해 더 이해가 깊어지는 내용들.
어렵지 않게, 이해하기 쉽게, 마음 읽어주고 마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다. 과연 나는 이제 내 무의식도 다스릴 수 있을 것인지. 정신분석의 정도언 전문의의 <프로이트의
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