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자책] 모든 요일의 기록
김민철 지음 / 북라이프 / 2015년 7월
평점 :
나는 문자중독증이 있는지
계속해서 뭔가를 읽고 있지 않으면 허송세월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곤한다. 시간을 허투루 보내서는 안된다는 강박도 꽤 커서 멍하게 보내는 시간이
있는 걸 못 견디는데 그에 비해 실제 내 체력은 쉴새없이 쉬어야 간신히
뭔가 하나 할 수 있는 그런 저질체력이라 그나마 가장 힘 안들이고 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면서 정서적 만족감이 큰 '읽기'를 계속하는건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최근들어 그
읽기가 재미없어지고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처음엔 나 자신이 너무 교만해져서 타인의 글을 못 읽게 된 건가 하고 반성을 했는데 물론 그런 내 탓도
분명 있겠으나 아주 사소하게나마 이런 이유도 있지 않을까 싶은데 그것은 바로 모든 글들이 비슷하다는 것 때문인 것 같다. 유행은 문체에도 해당이
되는지 눈에 들어오는 글들이 죄다 비슷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심지어 내가 쓰는 글도 그랬다.
그래서 읽기도 싫어지고
쓰는 건 부끄러워지고 그랬다. 내 삶이 팍팍해져서 그 글마다에 담긴 차이와 깊이를 보지 못함이었을수도 있다.
어쨌든 글을 읽으면서
감동을 느껴본지도 오래된 것 같고 내가 굳이 이런 글을 왜 읽고 있나 할 때도 많았고 그저 정보를 얻거나 잠시의 재미를 느끼거나... 그나마도
금세 잊혀졌다. 차라리 그 지겹던 피아노 연습을 도로 시작하거나 이제까지 미루기만 했던 외국어공부에 매진을 해볼까 하는 생각이 들고, 그러면서도
놓지 못하는 블로그는 어떻게 처치를 할까 고민도 하고 있었다.
그러다 박웅현, 오소희님의
추천사가 뒤에 박힌 [모든 요일의 기록]이라는 책이 눈에 들어왔다. 솔깃한 제안이라도 받은 기분이 들었다.
흰 바탕에 검정색 글자뿐인
책 표지도 나쁘지 않았다. 아주 담백하게, 적힌 글자에만 집중이 됐다.
모든 요일의 기록. 이렇게
써 놔서 그렇지 사실은 숙제로 늘 일기를 쓰는 아이들도, 블로그를 취미로 하는 우리들도 항상 하고 있는 일이 아니겠는가 싶기도 했다.
그 평범한 기록이
누군가에 의해서는 이렇게 책으로 나오고 그 외에는 그냥 개인의 기록으로만 머물고 마는 그 차이는 무엇에 있을까 생각하며 읽어나갔다.
저자는 이름이 주는 느낌과
다르게 여자분이고 10년차 카피라이터라고 한다. 큰 기대감이 들었더랬다. 그런데 글은 의외로 평범했다.
쉽게 읽히고 나름 재미도
있고 나랑 비슷한 모습도 느껴져서 좋고. 그러나 이렇게 특별함이 없으면 안되는데 (안될 것도 없지만 하여튼) 그럼 굳이 책으로까지 읽을
이야기랄 것이 없는거 아닌가 싶어질 즈음 다 읽어가며 느낀 것은 다행히도 "차이의 발견"이었다.
일단 자신만의 글체가
있는데 그것이 단순히 글에서 느껴지는 어투의 차이가 아니고 자신만의 생각에서 보고 느낀 고유한 것을 적은 것이라 그러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까 결국 이 기록은 평범한 일상을 기억력이 썩 좋지 않아 꾸준히 보고 듣고 느끼고 쓰고 찍고 .. 하며 기록한 그 기록과 그 과정을 통해
체감하고 사유한 것들에서부터 나온 차이가 만들어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이제 어떻게든
처치하려던 블로그를 다시 돌아보게 되었고 휩쓸려가고 있던 일상을 다시 생각해 보자는 생각도 했고 더 깊숙하게 느끼고 생각하며 기록해보자는 생각도
들었고 감사한 마음으로 순간순간을 살아있자는 생각도 해 보았다.
참, 책 안에 삽입된
사진들도 꽤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