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모든 요일의 기록
김민철 지음 / 북라이프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문자중독증이 있는지 계속해서 뭔가를 읽고 있지 않으면 허송세월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곤한다. 시간을 허투루 보내서는 안된다는 강박도 꽤 커서 멍하게 보내는 시간이 있는 걸 못 견디는데 그에 비해 실제 내 체력은 쉴새없이 쉬어야 간신히 뭔가 하나 할 수 있는 그런 저질체력이라 그나마 가장 힘 안들이고 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면서 정서적 만족감이 큰 '읽기'를 계속하는건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최근들어 그 읽기가 재미없어지고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처음엔 나 자신이 너무 교만해져서 타인의 글을 못 읽게 된 건가 하고 반성을 했는데 물론 그런 내 탓도 분명 있겠으나 아주 사소하게나마 이런 이유도 있지 않을까 싶은데 그것은 바로 모든 글들이 비슷하다는 것 때문인 것 같다. 유행은 문체에도 해당이 되는지 눈에 들어오는 글들이 죄다 비슷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심지어 내가 쓰는 글도 그랬다.

그래서 읽기도 싫어지고 쓰는 건 부끄러워지고 그랬다. 내 삶이 팍팍해져서 그 글마다에 담긴 차이와 깊이를 보지 못함이었을수도 있다.

어쨌든 글을 읽으면서 감동을 느껴본지도 오래된 것 같고 내가 굳이 이런 글을 왜 읽고 있나 할 때도 많았고 그저 정보를 얻거나 잠시의 재미를 느끼거나... 그나마도 금세 잊혀졌다. 차라리 그 지겹던 피아노 연습을 도로 시작하거나 이제까지 미루기만 했던 외국어공부에 매진을 해볼까 하는 생각이 들고, 그러면서도 놓지 못하는 블로그는 어떻게 처치를 할까 고민도 하고 있었다.

그러다 박웅현, 오소희님의 추천사가 뒤에 박힌 [모든 요일의 기록]이라는 책이 눈에 들어왔다. 솔깃한 제안이라도 받은 기분이 들었다.

흰 바탕에 검정색 글자뿐인 책 표지도 나쁘지 않았다. 아주 담백하게, 적힌 글자에만 집중이 됐다.

모든 요일의 기록. 이렇게 써 놔서 그렇지 사실은 숙제로 늘 일기를 쓰는 아이들도, 블로그를 취미로 하는 우리들도 항상 하고 있는 일이 아니겠는가 싶기도 했다. 그 평범한 기록이 누군가에 의해서는 이렇게 책으로 나오고 그 외에는 그냥 개인의 기록으로만 머물고 마는 그 차이는 무엇에 있을까 생각하며 읽어나갔다.

저자는 이름이 주는 느낌과 다르게 여자분이고 10년차 카피라이터라고 한다. 큰 기대감이 들었더랬다. 그런데 글은 의외로 평범했다.

쉽게 읽히고 나름 재미도 있고 ​나랑 비슷한 모습도 느껴져서 좋고. 그러나 이렇게 특별함이 없으면 안되는데 (안될 것도 없지만 하여튼) 그럼 굳이 책으로까지 읽을 이야기랄 것이 없는거 아닌가 싶어질 즈음 다 읽어가며 느낀 것은 다행히도 "차이의 발견"이었다.

일단 자신만의 글체가 있는데 그것이 단순히 글에서 느껴지는 어투의 차이가 아니고 자신만의 생각에서 보고 느낀 고유한 것을 적은 것이라 그러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까 결국 이 기록은 평범한 일상을 기억력이 썩 좋지 않아 꾸준히 보고 듣고 느끼고 쓰고 찍고 .. 하며 기록한 그 기록과 그 과정을 통해 체감하고 사유한 것들에서부터 나온 차이가 만들어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이제 어떻게든 처치하려던 블로그를 다시 돌아보게 되었고 휩쓸려가고 있던 일상을 다시 생각해 보자는 생각도 했고 더 깊숙하게 느끼고 생각하며 기록해보자는 생각도 들었고 감사한 마음으로 순간순간을 살아있자는 생각도 해 보았다.

​참, 책 안에 삽입된 사진들도 꽤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